•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曹洞五位의 전승에 대한 一然과 淨訥의 대응 고찰 (A view of confrontation about CaoDongWuWei by Ilyeon & JingNe)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1 최종저작일 2019.02
23P 미리보기
曹洞五位의 전승에 대한 一然과 淨訥의 대응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연구 / 50호 / 61 ~ 83페이지
    · 저자명 : 김호귀

    초록

    오위사상은 중국 조동종의 근본적인 교의이다. 그런데 오위사상은 동산양개와 조산본적에 의한 조동종의 형성 이전에 이미 석두희천의 『참동계』 등에서 전승된 사상적인 원류에 근거한 것이었다. 그것을 바탕으로 하여 동산이 자신의 『보경삼매』 및 『오위현결』을 통하여 동산오위라고 불리는 편정오위 기타 공훈오위를 형성하였고, 이후에 거기에 대하여 그의 제자 조산본적이 게송을 붙임으로써 본격적으로 널리 전승되었다. 동산양개의 두 가지 오위 곧 편정오위와 공훈오위 가운데 전자의 경우는 동산 자신의 悟證의 내용을 중심으로 서술된 것으로서 본증의 측면을 보여주고, 후자의 경우는 그것을 체득하는 납자의 수행이 진전해가는 모습을 보여준 측면을 보여주고 있다.
    오위사상은 고려시대 초기에 고려에 전승되어 면면히 유지되어 오다가, 고려 후기에 일연에 의하여 『중편조동오위』가 편찬되었다. 여기에서 일연은 원시조동종의 교의를 충실하게 반영하였다. 그것은 바로 중국에서부터 논란의 문제였던 『보경삼매』 밑 『오위현결』의 작자를 동산으로 확정하였고, 동산오위에 대한 『축위송』의 작자를 동산양개가 아닌 조산본적으로 확정하였으며, 오위 가운데 제사위의 명칭을 원시조동종의 입장에 부합되게 편중지로 확정하였다.
    한편 명대 말기의 정눌은 『보경삼매원종변류설』을 저술하여 송대 이후부터 널리 전개된 원시조동종의 변용된 교의를 비롯하여 임제종까지 파급되어 전승된 오위의 입장을 당시의 시대적인 입장을 그대로 수용하고 있다. 그 결과 정눌은 몇 가지 점에서 일연과 상반된 견해를 주장하는데, 곧 「축위송」의 저자에 대한 문제와 제사위의 명칭에 대한 문제 그리고 각범혜홍의 견해에 대한 문제 기타가 이에 속한다.
    본고에서는 정눌이 『보경삼매원종변류설』에서 주장한 내용을 아홉 가지로 고찰하였다. 그리고 시대적 그리고 지역적인 차이가 보이는 일연과 정눌의 견해가 지니고 있는 특징을 고찰하였다. 그 가운데는 오위에서 제사위의 명칭에 대하여 다른 견해도 노출되어 있는데, 그것은 각자 자각하고 있던 시대의식의 발로였던 것으로 보인다. 기타 보다 구체적인 아홉 가지의 주장은 정눌의 특수한 오위관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e CaoDongWuWei(曹洞五位) is fundamental principle of CaoDong-sect. The the origin of doctrines are CanTongQi(參同契) of ShiTou(石頭) and WuWeiXianJue(五位顯訣) of DongShan(洞山). The foundation was based on HuiHu(principles of Circulation 回互) and BuHuiHu(principles of No-Circulation 不回互).
    The fixed form about PianZhongWuWei(偏正五位) was made of terminology and verse by CaoShan(曹山), who is disciple of DongShan.
    But the CaoDongWuWei of DongShan, namely, PianZhongWuWei (actuality-principle five positions 偏正五位) has changed gradually. First is the auther of BaoJingSanMei(寶鏡三昧) and WuWeiXianJue(五位顯訣). Second is the auther of verse that DongShan or CaoShan which appended the PianZhong-WuWei. Third is the terminology of the fourth - PianZhongZhi which means the Pure Actuality Principle(偏中至) or the JianZhongZhi which means the Pure Actuality Principle(兼中至) -.
    But in Goryeo dynasty zen master BoGakIlyeon(普覺一然 : 1206-1289) made a definite decision that three points of dispute through the JungPyeon-Jodongowi(重編曹洞五位). First, the auther of BaoJingSanMei and WuWeiXianJue is DongShan. Second, the auther of verse is CaoShan. Third, the terminology of the fourth is PianZhongZhi(偏中至) On the one hand, in Ming(明) dynasty zen master YunCongJingNe(雲淙淨訥 : 1610-1673) insisted that the terminology of the fourth is JianZhongZhi(兼中至). And if we are to speak about it at all, JingNe insisted on nine items through the BaoJingSanMeiYuanZongBianMiuShuo(寶鏡三昧原宗辨謬說).
    JingNe’s opinions are disagree with Ilyeon in many aspects. But these divergence of views are from the understand of the nation’s times and personal’s inclination. JingNe’s view points is well acquainted with current affairs, and Ilyeon’s view points is carry through his faith for CaoDong se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