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얀 파브르의 춤 작품에 나타난 몸의 의미-<나는 피다>와 <눈물의 역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Body’s Meanings in Jan Fabre’s Dances)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1 최종저작일 2011.04
25P 미리보기
얀 파브르의 춤 작품에 나타난 몸의 의미-&lt;나는 피다&gt;와 &lt;눈물의 역사&gt;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예술과 과학기술 / 7권 / 1호 / 133 ~ 157페이지
    · 저자명 : 이찬주

    초록

    이 연구는 얀 파브르의 춤 작품에 나타난 몸의 의미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얀 파브르는 몸의 생물학적 요소를 주제로 다룬 안무자로 알려져 있으며, 춤 형성의 근원으로 몸을 주시하며 몸의 체액을 주제로 이를 형상화하고 있다.
    첫째, 「나는 피다(I am blood, 2001)」는 권력에 대한 피의 부정적인 약점을 보완하고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수용을 보임으로서 인간의 대변되는 순수욕구로서의 몸의 의미를 표현하고 이를 통해 문명의 기반에 서있는 우리에게 이데올로기의 해방을 탄생시키고 있다.
    둘째, 「눈물의 역사(History of Tears, 2005)」는 인간이 절망적인 상황에서 무기력해져서는 안 되며, 세상에 존재하는 자연적인 본성을 통해 돌보고 치유될 수 있다고 제시 하고 있다. 얀 파브르는 이러한 상황을 모색하는 과정으로 몸에 대한 진리로서의 눈물의 의미를 표현하고 있다. 그는 모든 신체의 눈물을 생명으로 보았고 이를 통해 해체되어가는 인간영혼의 원형을 복구하고자 하였다.
    얀 파브르의 춤 작품들은 연극적 요소와 자유로운 움직임을 가미하면서 장르의 혼합을 꾀하고 있었고, 인간 몸의 의미를 통해 삶을 구현하고 있다. 또한 그는 「나는 피다(I am blood, 2001)」와 「눈물의 역사(History of Tears, 2005)」에서 보여준 환희, 고통, 슬픔을 통해 몸의 의미를 표현하였으며 그의 독창적이고 난해한 방식은 인간의 본질을 은유와 성찰로 엮어내는 데 성공하였다.
    얀 파브르는 자신의 작품에 대해 몸을 통한 인간탐구라는 사실을 강조하였고 그의 예술은 춤을 넘어 현대 예술 전반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그는 인간의 가장 기초적이며 생물학적 방식에 대한 사고를 파헤치며 새로운 춤의 예술을 제시하고 있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outline the meaning of the body’s movements in Jan Fabre’s dances. The subject discussed is the biological components of choreographer Jan Fabre’s dances, and the source of the form of the body and it’s shape.
    First, “I am blood”(Je suis Sang 2001) the power of the blood and the opposite, it’s weaknesses are shown. This idea complements an active and positive representation the body’s pure desire. Another meaning is how we are giving birth to the ideology of liberation in modern times.
    Second, in History of Tears” a man in despair in a desperate situation should not be helpless without an alternative. The world’s presence has been suggested that we should take care of each other. He calls this situation the process of seeking the truth with the representation of tears as life of the body to restore the original form of the human soul.
    Jan Fabre implemented the theatrical elements of a play and the freedom of the movements of the body to mix these two genres. “I am blood(Je suis Sang 2001)” and “History of Tears show joy, pain, sorrow and deep reflection about the meaning of the body and it’s movements. His dances contain a unique and profound way to show human nature as a metaphor successfully.
    Jan Fabre’s bodies of work emphasize human exploration and beyond his art, dance and culture of modern influences are broad. He has changed the way we think about modern art and how it’s presented in his d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술과 과학기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