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타비타, 그녀는 누구인가?: 공적 직무를 수행한 ‘여제자’(사도 9,36-43) (Tabitha, Who is She?: ‘Woman Disciple’ Who Performed a Public Ministry(Acts 9:36-43))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1 최종저작일 2015.06
34P 미리보기
타비타, 그녀는 누구인가?: 공적 직무를 수행한 ‘여제자’(사도 9,36-43)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전망 / 189호 / 2 ~ 35페이지
    · 저자명 : 이연수

    초록

    사도 9,36-42에는 ‘여제자’를 뜻하는 그리스 말 ‘마테트리아’(maqhvtria)가 나온다. 이 낱말은 신약 성경을 통틀어 한 차례 언급되는 ‘일회 낱말’로, 이 낱말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여제자 타비타의 역할은 상반된 견해로 나뉜다. 본문은 전통적으로 역사비평적 방법론에 따른 양식비평을 중심으로 해석되어 왔다. 주로 남성 성서학자들에 의해 이루어진 방법으로, 루카의 신학적 의도와 해석에 따라 초대교회를 일군 베드로에게 초점을 맞춰 성경 읽기를 시도한다. 이 경우, 타비타는 베드로를 중심으로 한 구원사적 맥락 안에서 기적의 대상으로 읽힐 수밖에 없고, 이에 따른 여제자의 의미는 그리스도인으로 이해된다. 이와 달리 루카의 구원사적 이해 안에서 베드로가 중심인물이 아닌 베드로가 다시 살려낼 만큼 중요했던 타비타를 중심으로 성경을 읽을 때 비로소 그녀가 누구였으며, 루카가 그녀에게 붙인 여제자의 의미를 밝혀낼 수 있다. 이 방법이 바로 여성신학적 비평에 따른 성경 읽기다.
    루카는 타비타를 ‘선행’과 ‘자선’을 많이 한 여제자로 소개하지만, 여성신학적 비평에 따른 성경 읽기에서 ‘선행’과 ‘자선’이라는 전통적 덕목은 사도 6,1-7에 언급되는 일곱 봉사자가 행한 ‘직무’와 같은 일이었다. 이는 루카가 남성에게는 ‘직무’라는 표현을 쓰지만, 여성에게는 ‘선행’이나 ‘자선’이라는 표현을 쓴다는 점으로 드러난다. 그녀가 경제적으로 부유한 후원자로서 야포에 있는 그리스도교 공동체에 속한 곤궁한 과부들을 돌보았는데도 루카는 지도력을 나타내는 전문용어를 그녀에게 적용하지 않은 것으로 알 수 있다. 이로써 루카가 그녀에게 붙인 ‘여제자’는 단순히 ‘선행’과 ‘자선’을 행한 그리스도인이라는 의미로 가려지지 않으며, 갈릴래아에서부터 예수님을 따르며 시중들던 여성들처럼 예수님의 가르침을 배우고 따르며, 가정교회를 이끌며 공적 지도력을 발휘한 여성 제자의 모습으로 재발견된다.

    영어초록

    In Acts 9:36-42, a Greek word, maqhvtria, which means ‘woman disciple’, appears. According to the way in which this word is interpreted, which is mentioned only once throughout the New Testament, the role of Tabitha, a woman disciple, differentiates in conflicting opinions.
    The relevant passage has been traditionally interpreted based on form criticism following the method of historical criticism. It is an attempt mainly by male biblical scholars to read the Bible focusing on Peter who developed the early church, according to the theological intention and interpretation of Luke. In this case, Tabitha is necessarily read to be the object of the miracle in the context of salvation history centered on Peter, and the meaning of the woman disciple is understood to be a Christian in general. However, when we read the bible from the perspectives of Tabitha, who was so important as to be revived by Peter, as described within the understanding of salvation history by Luke, the meaning of the woman disciple which Luke designated Tabitha can be seen. This is a biblical reading method based on feminist theological criticism.
    Though Luke introduces Tabitha as a woman disciple who practised many ‘good deeds’ and ‘charity’, these traditional virtues are the same as the ‘ministry’ which the seven men performed(Acts 6:1-7), within the biblical reading based on feminist theological criticism. This is manifested in the fact that Luke uses the word, ‘good deeds’ or ‘charity’ for women while using ‘office’ for men. Despite the fact that, as a rich patroness, she took care of the distressed widows belonging to Christian community in Joppa, Luke did not apply the special term indicating a leadership role. This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the ‘woman disciple’, which Luke applied to her, cannot be covered by the meaning of Christian simply practising ‘good deeds’ and ‘charity’. Thus she is rediscovered to be a woman disciple who learned and practised the teachings of Jesus, as those who followed and waited on Jesus all the way from Galilea, and who exerted her public leadership serving and leading the house church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