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뉘연의 『문서 없는 제목』에 나타난 디지털적 대상과 하이퍼텍스트성 연구 (A Study on Digital Objects and Hypertextuality in Kim Nui-Yeon’s Title without a Document)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1 최종저작일 2024.07
29P 미리보기
김뉘연의 『문서 없는 제목』에 나타난 디지털적 대상과 하이퍼텍스트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구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연구 / 52호 / 69 ~ 97페이지
    · 저자명 : 한상우

    초록

    이 글은 김뉘연의 『문서 없는 제목』을 중심으로 디지털 환경에서의 글쓰기의 의미를 논의한다. 김뉘연의 『문서 없는 제목』은 디지털 기술과 인간의 관계, 글쓰기의 물질적 토대로서 디지털 글쓰기 공간을 사유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 글은 김뉘연의 시를 통해 기존에 좀처럼 논의되지 않던 디지털 글쓰기의 공간 또는 환경으로서 워드 프로세서의 작동 방식을 분석하고 인간과 AI의 관계가 생성하는 글쓰기의 주체를 해명하고자 했다.
    디지털 공간에서 이산화된 데이터가 재구성되어 하나의 데이터로 구성되는 것처럼 김뉘연의 시에서 시적 언어는 하나의 시를 구성하는 재료이자 데이터로 기능한다. 시의 언어는 화면 안과 밖의 경계를 허물며 여러 객체와 연결되는데, 이를 통해 하나의 시가 구성된다. 하이퍼텍스트성은 디지털 공간에서 하나의 시를 이루게 하는 속성이자 작동 원리로, 음악의 반복적인 흐름과 같다. 반복적인 연결과 흐름은 말소리의 차이를 생성하며 간섭무늬인 무아레의 패턴을 형성하며 글쓰기의 주체를 드러낸다.
    『문서 없는 제목』에 나타난 글쓰기의 주체는 인간과 AI가 서로의 텍스트를 읽고 번역하는 과정을 통해서 드러난다. 인간과 AI 사이에서 일어나는 번역 과정은 소통 불가능성에 의해 의미의 결락을 생성하며 텍스트를 의도의 바깥으로 확장시킨다. 인간과 AI는 예측이 불가능한 바깥과의 우발적인 마주침을 통해 관계를 형성한다. 인간과 AI는 하나의 시에서 한 사람으로 마주친다. 글쓰기의 주체는 이 찰나의 마주침에 드러나는 한 사람이다. 한 사람은 인간과 AI가 서로를 보충하며 인간이나 AI가 아닌 무엇으로 생성되는 기술적 삶의 시간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discusses the significance of writing in a digital environment, focusing on Kim Nui-Yeon’s Title without a Document. Kim Nui-Yeon’s work is meaningful as it allows us to contempl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technology and humans, as well as the material basis of digital writing spaces. Through Kim Nui-Yeon’s poetry,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functioning of word processors as a space or environment for digital writing which has been rarely discussed and to elucidate the writing subject generat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AI.
    In the digital space, discrete data is reconstituted into a single dataset, and similarly, in Kim Nui-Yeon’s poetry, poetic language functions as both the material and data that constitutes a single poem. What is more, the language of the poem blurs the boundary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creen and connects with various objects, thereby composing a poem. Hypertextuality, in this context, acts as both an attribute and operating principle that forms a poem in the digital space, akin to the repetitive flow of music. To clarify, the repetitive connections and flows generate differences in sound and form a moiré pattern, revealing the subject of writing.
    As for the writing subject in Title without a Document, it is unveiled through the process of humans and AI reading and translating each other’s texts. Furthermore, this translation process between humans and AI generates a gap in meaning due to the impossibility of perfect communication, extending the text beyond its original intent. That is to say, humans and AI form a relationship through accidental encounters with the unpredictable outside. In a poem, humans and AI meet as one person. The writing subject is revealed in this momentary encounter as one person, suggesting a technical life time where humans and AI complement each other and generate something that is neither purely human nor purely A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