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세라밴드와 트레드밀 트레이닝이 뇌병변 장애인의 일상생활체력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ra-Band and Treadmill Training on the Daily Physical Strength and Balance Ability of Hemiplegia)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1 최종저작일 2010.09
13P 미리보기
세라밴드와 트레드밀 트레이닝이 뇌병변 장애인의 일상생활체력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특수체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특수체육학회지 / 18권 / 3호 / 155 ~ 167페이지
    · 저자명 : 김영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12주간의 세라밴드와 트레드밀 트레이닝이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장애인에게 일상생활 체력 및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뇌병변 장애인 19명(세라밴드 집단 9명, 트레드밀 집단10명)을 matching sampling 하였으며, 피검자는 일일 50분, 주3∼4회, 그리고 12주간 운동을 실시하여, 일상생활체력과 균형능력을 처치 전ㆍ후에 측정하였고, 반복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을 이용하여 데이터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슬관절의 환측 신전에서 집단과 시기의 상호작용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세라밴드 트레이닝 집단은 슬관절의 환측 굴곡 및 신전, 의자에서 일어섰다앉기(Sit to standing), 그리고 2.44m되돌아앉기(Time up & Go)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고, 트레드밀 트레이닝 집단은 Time up & Go에서만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균형능력의 변화에서는 낙상 위험도에서 집단과 시기의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세라밴드 트레이닝 집단은 낙상위험도에서 만 처치 전 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트레드밀 트레이닝 집단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볼 때 12주간의 세라밴드 트레이닝이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장애인의 일상생활체력과 균형능력의 개선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세라밴드를 이용한 저항운동 프로그램이 유산소운동을 실시한 트레드밀 운동보다 대부분의 하위 변인에서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뇌졸중으로 인한 뇌병변 장애인치료 시 저항성 운동과 더불어 유산소 운동도 도움이 되므로 두 운동을 병행하여 실시하는 복합운동 프로그램도 편마비 장애인에게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ra-band and treadmill training on the daily physical strength and balance ability individuals with hemiplegia. nineteen participant(9 for thera-band group, 10 for treadmill group)with hemiplegia were recruited and divide into wo groups by matching sampling. The training for two groups was conducted for fifty minutes daily, 3 or 4 times a day during 12weeks. For evaluating, two-way Mixed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on the second factor was used to assess daily physical strength and balance ability. First of all,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time on knee joint extension. thera-band training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on sit to standing, and time up & go, knee joint extension and flexion, and treadmill training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on time up & go only. Second, At the balance abilit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group and time for the falling risk. The threra-band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ime, but the treadmill group did not showed any significant difference. 12-week thera-band training has an effect on daily physical strength and balance improvement for hemiplegia by stroke, and especially, the thera-band training has more significant effects on the most subordinate variables than treadmill. It is considered that the application of thera-band and treadmill training simultaneously would help to patients with hemiplegia during stroke treat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특수체육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