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뇌과학과 대순진리회의 종교교육적 이해 (Brain Science and the Understanding of Religious Education in Daesoonjinrihoi)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31 최종저작일 2017.12
19P 미리보기
뇌과학과 대순진리회의 종교교육적 이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종교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종교교육학연구 / 55권 / 27 ~ 45페이지
    · 저자명 : 나권수, 윤재근

    초록

    최근 뇌과학의 비약적 발전은 인문, 사회과학, 예술 등의 많은 학문 영역에서 뇌과학과의 접목을 시도하게 하고 있다. 인간의 활동과 관련된 모든 것을 뇌과학적 기반으로 재검토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교육학에서도 이러한 학제 간 연구를 기반으로 교육현장에서 쏟아져 나오는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시각과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과거의 교육에 비해 오늘날 교육은 여러 측면에서 학습자 중심 교육으로 변화하고 있다. 학습자와 학습과정에 대한 체계적인 과학적 연구와 프로그램 개발로 교육의 패러다임이 새롭게 변해가고 있는 것이다. 뇌과학의 입장에서 모든 학습은 뇌에서 이루어진다는 전제 아래 인간의 사고 및 학습 과정에 대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접근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 나아가 뇌의 인지기능 및 구조에 대한 과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뇌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적절한 교수 학습 환경을 설계하고 있다.
    대순진리회의 종교교육에서도 뇌과학의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한 학습과학이 요청된다. 하지만 현재 뇌과학을 활용한 교육의 개선, 나아가 종교교육적 활용에 대해 기대하기는 어렵다. 이제까지의 연구는 매우 기초적이며 단편적인 연구에 불과했다. 따라서 교육현장에 적용 가능한 보다 실용적이고 직접적인 연구를 위해서는 뇌과학과 대순진리회 종교교육의 접점을 모색할 수 있는 뇌와 마음, 그리고 몸에 대한 다양한 해석적 연구가 우선 필요하다.
    또한, 뇌영상 기술의 발전과 연구의 축적으로 이제 다양한 유형의 실증적 연구가 가능해질 것이다. 특정 과제를 학습하는 동안 뇌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다양한 영역에서의 개인차 원인을 규명하여 학습장애를 진단 치료하는 과정에 활용될 것이다. 이 같은 변화에 맞추어 대순진리회에서 시행되고 있는 수련의 효과를 측정하여 교육현장에 반영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사전적 연구가 축적되어 뇌과학을 활용한 학습․교육의 연계 가능성 및 혁신에 대한 논의가 향후 진행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In the field of brain science, the 21st century is seen as the era of brain and the future of humanity is considered to be dependent on how they utilize the potential of human brain. To meet the recent rapid progress of brain science, many academic areas such as humanities, social science, and arts are trying to graft brain science onto their studies, and to re-examine everything related to human activ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brain science. Based on these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it is also expected for educational study to find solutions with new perspectives and methods for various problems produced in the fields of educa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form of education, today’s education is changing in many aspects towards learner-centered education. With many systematic and scientific researches and the development of new education programs, the paradigm of education itself is changing into a new one. In the fields of brain science, which premises that all learning process is taking place in the brain, researchers try to find scientific and systematic approach for the process of human thinking and learning. Based on the scientific understanding of cognitive function and structure of the brain, this study tried to plan an appropriate learning environment where learners can use their brain more effectively.
    In this trend of the times, religious education of Daesoonjinrihoi must also adapt to the learning science based on the result of brain science researches. However, the current situation imposes difficulties in adapting the brain science to improve education environment and go further to use it for religious education. Until now, studies on this subject have been made only in very basic and fragmentary level. Therefore, in order to carry out more directive and practical research that can be applied in education fields, it is required to first study the brain, mind, and body from various interpretations, which can derive the agreement point between brain science and religious education in Daesoonjinrihoi.
    In addition, inferring from the speed of development of brain imaging technology and accumulation of these studies, there will be many researches made in various forms. They could be used for defining the cause of individual differences and for diagnosing and curing of learning disorders in various areas by watching the change occurring in the brain during the process of carrying out learning tasks. One way to apply brain science would be to measure the effect of mind training or spiritual cultivation that are practiced in Daesoonjinrihoi and use it in actual education. From these proactive researches, further discussions on the possibilities of linking brain science to learning and education system and making innovative education can be expec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종교교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