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성호 이익의 뇌낭설 수용 방식에 관한 검토 -성호의 사칠설과 『주제군징』의 뇌낭설을 중심으로 (Examination of Seongho Yi Ik’s Incorporation of the Brain-Pocket Theory: Focusing on the Four-Seven theory of Seongho and the Brain-Pocket Theory)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31 최종저작일 2017.06
34P 미리보기
성호 이익의 뇌낭설 수용 방식에 관한 검토 -성호의 사칠설과 『주제군징』의 뇌낭설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학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실학연구 / 33호 / 55 ~ 88페이지
    · 저자명 : 최정연

    초록

    조선에서 서양의학 담론의 출현은 여느 서양 학문 분야보다 늦었으며 그 관심의 정도도 훨씬 약했다. 하지만 조선의 지식인 가운데 성호 이익은 비교적 이른 시기에 서양의학이론에 주목했고 그것을 전통 지식에 기초하여 파악했다. 그가 심성론과 관련하여 주목한 의학지식은 뇌낭설인데, 여기에는 ‘뇌가 기억능력을 주관한다’는 주장과 ‘뇌가 감각기관과 운동기관을 지배한다’는 주장이 공존했다. 성호는 이 설의 양면성을 알고 있었고 자신의 심학에 후자만 수용했다.
    즉 성호는 뇌낭설의 발상에 자극을 받아 심신설을 재검토하는 과정에서 뇌낭설의 논리를 자신의 심학적 맥락 속에 수용했지만, 뇌가 기억능력을 지배한다는 주장 자체는 거부했다. 대신 그는 뇌가 감각․운동기관을 지배한다는 뇌낭설의 또 다른 주장에 주목했고 사칠설을 매개로 뇌와 심이 연동하는 방식을 파악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추정은 그가 『주제군징(主制羣徵)』을 읽고 뇌와 심의 연동방식을 파악한 내용과 그의 사칠설 사이에 드러나는 두 가지 유사 지점을 통해 뒷받침될 수 있다.
    하나는 「서국의(西國醫)」에 소개된 뇌의 동각지기와 심의 기능이 각각 사칠설의 형기와 심기의 기능과 비슷하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성호가 이해한 뇌와 심의 연동 방식이 칠정의 발현방식과 구조적 유사성을 보인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성호가 신체 및 심의 구조와 기능을 정교하게 세분하여 설계한 자신의 이론체계를 토대로 뇌낭설의 주장을 부분적으로 수용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뇌낭설의 수용 방식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성호는 성리학의 근본전제에 위배되지 않는 이상 서학을 수용하는 융통성을 보여주었다. 그는 심의 위상을 위협하지 않는 선에서 뇌낭설의 논리와 지식 일부를 수용했고, 이것을 자신의 심학을 이론적으로 확장하는 지적 자원으로 활용했던 것이다. 성호의 심학적 이론체계가 규모면에서 방대하면서도 이전과 다른 논리를 보여주는 것도, 그가 유교에 유효하다고 판단한 이론이라면 서양의 과학지식이든 종교지식이든 상관없이 용인한 결과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Discourses on the Western medicine was the last and least popular Western knowledge that entered Joseon. Yet, as a Joseon intellectual, Seongho Yi Ik took relatively early notice of the Western medical knowledge and comprehended its theories in the scope of the existing traditional knowledge. In association with the theory of the mind-heart and nature (心性論), Yi focused particularly on the theories on brain-pocket(腦囊說) and two conjectures on its functions. The first conjuncture suggested that the brain functions as the focal point of processing memories and the second conjecture argued that brain control sensory and locomotive organs. Although Yi was aware of the both, he incorporated only one theoretical aspect of the brain in his own scholarship of mind-heart (心).
    Yi Ik applied the idea of the brain as the seat of memories as a logical means to interpret Yi Sik’s theory of the mind-heart and kidney (心腎說) but did not incorporate it into his own mind-heart theory. Instead, Yi Ik focused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 of the brain described in the Western theory in order to comprehend how the brain and the mind-heart co-function, using the scope of Four-Beginnings and Seven-Emotions theory (四七說). This is supported by two similar points found in both his Four-Seven theory and how he interpreted the co-functioning of the brain and the mind-heart described in Zhuzhiqunzheng (主制羣徵, De Providentia Numinis).
    First, Yi Ik’s reference to Western theories in his Medicine of the West (西國醫) about the functions of the brain and heart—that they involve sensory-locomotive qi (動覺之氣) and mental qi, respectively—corresponds with the functions of physical qi (形氣) and mind-heart qi (心氣). Second, Yi Ik’s interpretation of the co-function of the brain and heart as shows structural similarities to how the seven emotions surface. An analysis of the two texts support the speculation that Seongho Yi Ki’s embrace of the Western brain theory was based on his own mind-heart theory, which was structured in accordance with his elaborate classification of human organs and their functions.
    As observed through how Yi Ik incorporated the brain-pocket theory, he was flexible in embracing ideas from the Western Learning unless they breached the fundamental preconditions of neo-Confucianism. He used the brain theory as his intellectual resource in expanding his own mind-heart theory to the extent that would not jeopardize the status of the mind-heart. The extensive scale of Yi Ik’s mind-heart theory and the later change of his reasoning are the results of his eclectic acceptance of the Western knowledge, whether it may be from Western science or religion as long as it could be considered valid to Confucian idea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실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