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뇌졸중 환자에서의 구강노쇠평가 (Assessment of oral frailty among patients with strok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31 최종저작일 2024.12
12P 미리보기
뇌졸중 환자에서의 구강노쇠평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치위생과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7권 / 2호 / 15 ~ 26페이지
    · 저자명 : 심선주, 문자영, 신혜선

    초록

    연구배경: 뇌졸중 환자가 일반 노인보다 구강건강상태가 좋지 못한 것은 여러 연구에서 보고된 바 있으나, 구강 노쇠에 관한 연구는 거의 수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들의 구강 노쇠 파악 및 중재를 위한 구 강보건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기초자료를 얻고자 뇌졸중 환자들에서 구강 노쇠를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만 40세 이상의 뇌졸중으로 진단받은 환자 50명을 대상으로 국내 구강 노쇠 진단 평가도구 및 판정 기 준에 따라 대상자의 구강 노쇠를 측정하였다. 측정항목은 저작능력, 교합력, 혀의 근력, 타액선 기능, 삼킴기능, 구강위생상태였으며 이 중 2개 이상의 항목에서 기능 저하가 관찰되는 경우 구강 노쇠로 진단하였다. 구강노쇠 진단에 따라 각 6가지 항목별 평균 비교를 위해 t-test를 시행하였고, 또한 현존 자연치아 수를 20개 이상과 20개 미만 그룹으로 분류하여 구강노쇠 판정에 따른 구강노쇠 6가지 항목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뇌졸중 환자 50명의 구강 노쇠를 평가한 결과, 28%가 구강 노쇠로 판정되었다. 저작 능력의 평균은 구 강 노쇠 그룹에서 2.30, 정상 그룹에서 3.49로 저작 능력이 정상 그룹에서 훨씬 높았고(p<0.001), 교합력의 평균은 구강 노쇠 그룹에서. , 정상 그룹에서 . 으로 정상 그룹에서 교합력이 훨씬 높았다(p<0.001). 혀 233 84N 541 21N 근력의 평균도 구강 노쇠 그룹에서16 32 . , 정상 그룹에서 .
    28 07로 큰 차이를 보였다(p<0.001). 타액선 기능의 평균은 구강 노쇠 그룹에서28 26 . , 정상 그룹에서 .
    29 43으로 정상 그룹에서 타액선 기능이 높았으며(p=0.034), 삼킴기능의 평균은 구강 노쇠 그룹에서 4.21, 정상 그룹에서 4.27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632). 구강위생 상태는 구강 노쇠 그룹에서 1.71, 정상 그룹에서 1.59로 구강 노쇠 그룹에서 다소 낮은 구강위생상태를 보였다(p=0.414). 또한 연구대상자 중 현존 자연치아 수가 20개 미만 군보다 20개 이상 군에서 모든 항목의 평균이 높아, 20개 이상 의 자연치아 수를 가지고 있는 군에서 구강 기능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뇌졸중 환자에서 정상 군과 구강 노쇠 군간의 구강 노쇠 항목에 차이가 있고, 현존 자연치아 수가 20개 이 상인 군에서도 기능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조사된 뇌졸중 환자는 의학적 상태가 양호한 환자들이기 때 문에 구강 노쇠의 비율은 많지 않았으나, 지역사회 노인 및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구강노쇠 및 전신 노쇠의 예 방을 목적으로 하기 위한 구강 노쇠의 기초 연구로 그 의의가 있겠다.

    영어초록

    Background: Stroke patients generally have poorer oral health compared to the general elderly population, but limited data exists on their oral frailty. This study aimed to evaluateoral frailty in stroke patients and provide baseline data for oral health interventions.
    Methods: Fifty stroke patients aged 40 and above were assessed for oral frailty using a diagnostic tool. Items assessed were masticatory ability, occlusal force, tongue pressure, salivary gland function, swallowing function, and oral hygiene status. Oral frailty was diagnosed if there was functional decline in two or more parameters. T-tests were used to compare the mean values ofthese six parameters between frail and non-frail groups. Additionally, patients were categorized based on whether they had more than or fewer than 20 natural teeth, and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f the six parameters were compared.
    Results: Among the 50 stroke patients, 28% were diagnosed with oral frailty. The non-frail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average scoresin masticatory ability (3.49 vs. 2.30, p<0.001), occlusal force (541.21N vs. 233.84N, p<0.001), and tongue strength (28.07 vs. 16.32, p<0.001). Salivary gland function was slightly better in the non-frail group (29.43 vs. 28.26, p=0.034), while swallowing function did not differ significantly(4.27 vs. 4.21, p=0.632). Oral hygiene status was marginally lower in the frail group (1.71 vs. 1.59, p=0.414). Patients with more than 20 natural teeth had better scores in all parameters compared to those with fewer than 20 teeth.
    Conclusion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oral frailty parameters between frail and non-frail stroke patients, with better oral function noted in those with more than 20 natural teeth. Although the incidence of oral frailty was low among the medically stable stroke patients studied, this research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interventions to prevent frailty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and stroke pati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치위생과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