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유의지와 뇌과학: 상호 인정 투쟁 (Free Will and Brain Science: Struggle of Mutual Recogni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31 최종저작일 2015.08
34P 미리보기
자유의지와 뇌과학: 상호 인정 투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법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법철학연구 / 18권 / 2호 / 99 ~ 132페이지
    · 저자명 : 박은정

    초록

    자유의지에 대한 철학자들의 관심과 뇌과학자들의 관심이 같을 수는 없다. 이들이 각각 동원할 수 있는 개념적 자원이나 설명 수단이 다를 수밖에 없는데도 불구하고 이것들이 뒤엉키게 된다면 혼란과 불필요한 마찰이 생기기 마련이다. 리벳(Libet) 실험 이후 철학자들과 과학자들이 벌이는 자유의지 논쟁에는 이런 뒤엉킴으로 인한 혼란이 엿보인다. 어느 진영이든 지적 과장 유혹을 경계한다면, 자유의지 논의와 뇌과학 연구는 상대 진영을 서로 대척점으로써만 바라보는 대신, 인간의 자유와 인간행위에 대한 더 나은 학문적 토대와 이론 개발을 위한 협업과 새로운 분업관계에 들어설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은 학문적 이상으로서의 이런 협업을 지향하면서 ‘자유의지 vs. 결정론’으로 거론되는 철학적 논의지형을 재검토해 본다. 이와 함께 일반사람들이 이론적 추상적 맥락에서는 자유의지와 결정론이 양립할 수 없다는 태도를 취하지만 실제 구체적 맥락 속에서는 다른 태도를 보인다는 점에 주목한다. 그리고 자연과학에도 깊은 관심을 가졌던 칸트가 자유를 학문 안으로 끌어들이는 모험을 하면서 보인 조심성이 우리의 주제와 관련하여 의미 있는 시사를 한다는 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그리고 자유의지 논의에서 통상 개념필연적 요소로 지목되는 ‘달리 행동할 수 있었음’에 대해 새로운 평가가능성을 검토해 보고, 리벳 실험을 예로 들어 자유의지에 대한 뇌과학적 접근의 문제점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규범적 지식 획득 과정에서 환원주의(reductionism), 제거주의(eliminativism), 부수주의(epiphenomenalism)의 위험성을 지적하고, 자유의지와 뇌과학의 ‘상호 인정 투쟁’ 속에서 철학과 과학의 협업공간을 넓힐 수 있음을 지적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It is only natural that perspectives on free will differ between philosophers and brain scientists. The conceptual resources and explanation methods able to by conjured up by the two camps can only but differ, and therefore if they were to get entangled this would only render chaos and unnecessary conflict. After the Libet Experiment, philosophers and scientists underwent this kind of confusion when discussing free will due to this conceptual convolvement. If the two camps are able to be vigilant of temptations of intellectual exaggeration, the discussion of free will and brain science research can stop looking at the other camp as an antipode and make progress in finding collaboration and forming a new division of labor for building a better academic foundation and developing theory.




    This paper aims toward collaboration as an academic ideal and re-examines the argumentative topography for philosophy’s debate between “free will vs. determinism”. This paper focuses especially on the fact that most people assume the stance that free will and determinism are incompatible from the abstract theoretical sense, but in fact assume a difference stance altogether in the actual context. Also this paper points out that Kant, who had deep interest in natural science, showed a great deal of carefulness when taking the risk of incorporating the concept of freedom into scientific thoughts. His carefulness makes a meaningful point which has a great deal to do with the subject we attempt to discuss in this paper. This paper also looks at the possible evaluations of the inevitable notion of the free will discussion, that of “could have done otherwise”, and taking the Libet Experiment as an example scrutinize the problems of brain science’s approach on free will. Finally this paper points out the dangers of reductionism, eliminativism, epiphenomenalism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normative knowledge, and in the ‘struggle for mutual recognition’ between free will and brain science, we can attempt to expand the area of collaboration between philosophy and sci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