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토의 균형발전, 경자유전원칙에 맞는 농지거래법제 개선 연구 - LH 투기사태 이후 농지법 개정을 중심으로 (Legal Reform of the Farmland Law for the Land to the Tiller - Focusing on the LH speculation incident)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21.06
48P 미리보기
국토의 균형발전, 경자유전원칙에 맞는 농지거래법제 개선 연구 - LH 투기사태 이후 농지법 개정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사법학회
    · 수록지 정보 : 민사법학 / 95권 / 169 ~ 216페이지
    · 저자명 : 송재일

    초록

    2021년 3월 불거진 LH 투기 사태는 비농업인인 LH 직원이 제3기 신도시 사업에 대한 내부정보를 이용하고 고도의 투기수법을 통해 막대한 수익을 올림으로써, 우리 사회의 공정과 신뢰를 근본적으로 무너뜨린 충격적인 사건이다. 미완의 농지개혁을 달성하는 데 필요했던 한시법에 불과한 구 농지개혁법(1949년 제정)을 진작 대체하여야 했던 농지법은 오랜 동안 답보상태였고, 드디어 1994년 제정되어 1996년 시행되었다. 그러나 현행 농지법은 제정 당시부터 내재된 입법 흠결에 더해 수차례 규제 완화 일변도의 개정이 헌법상 경자유전원칙을 실현하거나 투기를 막는 목적 달성에 역부족이었으며, 농업의 구조개선이라는 본질에 충실할 규범력은 이러저러한 예외조항으로 상실되고 불법과 탈법행위에 너무나도 취약하고 무력해졌다는 현실만 드러낸 것이라고 본다.
    핵심은 농지의 소유 및 사용 수익에서 농지가 경자유전의 원칙에 따른 농업생산성의 제고와 농지이용의 합리화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미 독일, 스위스, 프랑스 등 외국의 농지거래법제에서는 투기까지 예방하거나 규율할 수 있도록 현대적 경자유전원칙에 맞추어 농업활동과 농업인 정의, 농지 취득과 사용 수익 등에서 많은 장치들을 마련해 놓았다. 물론 나라마다 사정과 여건, 법문화도 다르겠지만, 우리나라에 시사점을 줄 만한 점도 있겠다. 요컨대, 농지의 취득에서 농지취득자격증명을 토지거래허가처럼 유동적 무효의 법리로 다룬다든지(독일 사례), 실질적 심사를 통해 영농능력과 교육을 갖춘 사람들이 농촌에서 최소 경영면적 이상의 농지를 가질 수 있도록 경작허가를 배분하거나(프랑스 사례), 영농에 종사하는 가족, 임차농 등에게 선매권 기회를 부여하는 것(독일, 스위스, 프랑스 사례) 등이 그러하다.
    우리나라처럼 통작거리와 거주요건을 다 무시하고 전국 어디나 농지를 취득하게 하는 것은 잘못이다. 또한 농지를 투기적으로 보상이나 차익을 노리게 하거나, 약탈적으로 활용하는 것도 잘못이다. 농지는 그 지역 자연이나 경관, 농업여건에 가장 맞는 방식으로만 활용되어야 한다. 나아가 농지은행을 통해 비농업인이 상속, 이농 등을 통해 취득한 농지를 무한정 소유하게 하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 우리나라가 진정한 선진국이 되려면, 식량안보가 확립되어야 하고 산업과 국토가 골고루 균형 있게 지속가능하게 발전되어야 한다. 약한 고리, 그것이 농업이며 농지법인 것이다. 더 이상 미봉책에 그치지 말고 근본적으로 농지법을 전면 개정하여야 한다.

    영어초록

    Some employees working for Korea Landing and Housing Corporation were involved in property speculation, mostly in farmland. So the LH property speculation scandal in March 2021 was shock, fundamentally destroying the fairness and trust of the society. Korean Farmland Act(1994) with the legislative deficiencies inherent was insufficient to keep from thriving speculation like LH incident, because it was too vulnerable and helpless.
    The key is that farmland must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rationalization of farmland use and the improvement of agricultural productivity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light free oil field in the profit of ownership and use of farmland. Already, foreign farmland laws such as Germany, Switzerland, and France have prepared a number of devices in terms of agricultural activities, definition of farmers, and profits from farmland acquisition and use in accordance with the moderate legal system keep land to the tiller rule and regulate speculation. Of course, the circumstances, conditions, and legal culture vary from country to country, but there are best practice and legal experiences that can give implications to Korea. In short, in the acquisition of farmland, the certification of farmland acquisition is treated as a law of liquid invalidity like a land transaction permit (German case), or through practical examination, so that people with farming ability and education can have farmland with more than the minimum management area in rural areas. This is the case with distributing cultivation permits (French case) or giving preemptive rights to family members and tenants engaged in farming (the cases in Germany, Switzerland, and France). To sum up, farmland law should suit land to the tiller and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for the peo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