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기농식품시장의 유통안정화 전략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rategy Development for Stabilization of Developing New Markets for Organic Products)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1.04
35P 미리보기
유기농식품시장의 유통안정화 전략개발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사회과학연구 / 18권 / 1호 / 5 ~ 39페이지
    · 저자명 : 유덕기

    초록

    녹색성장과 관련하여 환경과 경제, 그리고 녹색산업의 선순환 콘셉트를 성공적으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유기농식품산업을 육성해야하며, 성숙한 유기농시장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유기농식품시장의 전략적 활성화 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기농식품생산 및 유통시장의 특징과 실태분석을 통하여 시장문제를 분석하고 발전과제를 제시하며, 유기농식품유통체인에서 나타나고 있는 문제와 장애발생요인을 구명하며, 생산 및 유통시장의 문제 및 장애요인을 해소하고 유통거래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전략적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여 유기농식품마케팅전략 개발은 물론 장기적으로 유기농식품시장발전 및 정책개발에 기여하는데 있다.
    국내 친환경농업육성법(1998) 제정 이후 인증제도 도입과 가이드라인 제정, 그리고 직불제도와 검증된 투입자재 이용 등 생산부분의 제도적 방안들이 개선되어 왔으나 유기농시장의 투명성과 신뢰성, 그리고 거래비용의 효율성을 추구할 수 있는 정책이나 제도가 아직 미흡하다. 또한 유기농산물시장이 친환경농산물시장과 공존하고 있어 유기농식품시장이 완전하게 형성되지 못하고 있으며, 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전환과정과 제도적 환경조성이 결여되어 시장의 불안정과 불투명성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아직 유기농식품시장이 조직적으로 형성되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시장 투명성 결여로 유기농시장참여자들의 활동을 크게 제약하고 있다. 따라서 시장생성단계에 있는 유기농식품시장의 경쟁력 강화와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특히, 유통거래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제도적 개선과 전략개발이 무엇보다 시급한 실정이다.
    유기농식품시장의 불안정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안전성 보장에는 비계약적, 그리고 계약 또는 협력적 안전성보장방안이 제시된다. 비계약적인 경우는 거래특수성의 대칭성 향상과 특수 품질과 분업을 통한 수요특수성 향상, 우수한 사업관계와 공동관심 및 명성자본 확보, 그리고 다목적 기술전략 선택과 유기농의 특수성 저감, 고객 및 공급구조의 다양성이 있다. 수평-수직적 협력에 의한 안전성보장 방안에는 생산 및 공급계약, 공동의 자회사 설립, 생산자 단체의 후방결합과 소매유통업의 전방결합, 상호협력투자에 의한 부분결합, 소비자단체와 수직적 협력이 있다.
    이와 같은 수직적 협력의 전략적 연합을 통하여 품질보장, 유통단계의 know-how와 전문성 제고, 생산자와 유통업의 공통관심과 문제개선으로 장기적 사업관계 구축과 상호 기회주의를 방지하는 전방위 유통거래관계에서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핵심영역의 부문적 수직적 결합은 장기적 사업관계를 추가적으로 보장하기 때문에 안전성보장-믹스의 최대한 이용이 가능하다. 특히, 요소 특수적 투자로 높은 안전성보장이 요구되고 있는 소농구조 하의 유기농식품시장에서 수평적 결합(생산자단체)은 시장형성초기에 시장성장과 연계성 강화를 위하여 절대적인 기능을 가진다. 왜냐하면 유기농마케팅조직의 질적 양적 협력구축은 유기농식품시장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성공요인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시장성숙정도에 따라 생산자단체는 제도적 경쟁 상태에서 유기농식품을 공급하는 경영성과에 의존되기 때문에 수평적 협력조직인 유기농생산자단체는 집중 지원 육성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The rapid increase in production of organic food is creating new and more complex challenges for markrting, from vegetable box schemes to large co-operatives supplying the precise quality and volume required by supermarkets.
    The wider world of supermarkets, larger food and mainstream marketing institutions provides opportunities, but is also uncertain, difficult to deal with, and fiercely competitive. Barriers to implementing sustainable developments of the market for organic food include lack of basic information or poor understanding among farmers of sustainable techniques and practices, poor access to markets, consumer habits, including resistance to paying premium prices.
    Recommends strategies for developing of the market e.g., educating and organizing both farmers, processors, and consumers developing marketing and distribution programs. This particularly important for organic farmers in less favoured areas, or other areas where marketing opportunities are relatively underdeveloped.
    A possible strategy for many farmers is to co-operate in regionally or nationally operating marketing initiatives.
    There are several advantages of marketing through collective marketing initiatives:- Better collection of supply - Increased market power - Possibilities for diversifying marketing activities.
    Collective organic marketing improves the competitive position when dealing with other businesses. Bringing together larger volumes over longer periods of time allows a range of different needs to be served, improves profitability and thus allows prices to continue to be paid to farmers. Collaborative marketing gets people together to solve problems. The skills needs to do this are the same as those required for solving larger problems, and are best got hold of through practice. The principles of organic farming fit closely with this path of social and cultural development, and can support lasting and worthwhile effects on rural commun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