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셸 푸코의 파놉티시즘에서 인식, 권력, 윤리의 관계 (The Relation between Knowledge, Power, and Ethics in Michel Foucault’s Panopticism)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2.06
30P 미리보기
미셸 푸코의 파놉티시즘에서 인식, 권력, 윤리의 관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의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의철학연구 / 13권 / 75 ~ 104페이지
    · 저자명 : 한희진

    초록

    푸코는 벤담이 기획한 가장 효과적인 감시 체계인 ‘파놉티콘’을 분석해서 서양의 ‘근대성(modernité)’ 이념이 시각중심주의 인식론임을 밝혔다. ‘근대성’ 이념에 근거한 근대과학은 대상을 공간화하고 시각화하는 것이 곧 인식이라고 규정했는데, 그 이유는 이렇게 인식하면 대상을 가장 쉽게 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푸코는 근대 인식론이 생물학적 필요의 차원에서 출발해서 다른 시민을 감시하는 사회정치적 권력의 차원으로 확장된다는 사실을 ‘생체권력(biopouvoir)’이라고 개념화했다. 인식(지식)과 권력(힘)은 불가분의 필연적 관계에 있으며, 하나가 다른 하나를 정당화하는 순환적인 관계에 있다. 그래서 푸코는 전통적인 인식론의 문제에서 사회정치철학의 문제를 봤고, 반대로 전형적인 사회정치철학의 문제에서 인식론의 문제를 봤다.
    그런데 푸코는 거대한 이론적 담론을 수립해서 자신의 인식론을 정당화했던 칸트의 선험적 인식론을 거부했다. 푸코의 인식론은 근대적 감옥이 형성되는 역사적 사례를 미시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역사적 인식론(épistémologie historique)’이라고 정의될 수 있다.
    데카르트에서 기원한 근대 시각중심주의 인식론은 개인의 윤리도 수립했다. 푸코에 따르면 개인의 윤리란 타인이 나를 보고 있다는 사실을 내재화한 결과이다. 푸코는 서양의 근대성이 내재화된 자기통제적 권력의 형태로 작동하고 있음을 지적하며, 이렇게 동시에 인식론적이고 사회정치적이며 윤리적인 상황을 총체적으로 ‘파놉티시즘(panopticisme)’이라고 정의했다. 파놉티시즘은 역사적으로 의학과 의료 분야에서 가장 극명하게 실현됐다. 푸코가 명시적으로 논증한 인식(지식)-권력(힘)-윤리(도덕)의 불가분한 관계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고 중요하다.

    영어초록

    Michel Foucault(1926-1984) analyzed ‘panopticon’ - the most effective surveillance system elaborated by Jeremy Bentham(1748-1832) - in order to claim that western ‘modernity (modernité)’ is not different from ocularcentric epistemology. Based on the idea of modernity, modern science identified spatialization and visualization of an object with correct understanding of it, for the reason that we can most easily control an object if we know it in this manner.
    Actually, modern epistemology was first developed to meet our biological needs and then extended into sociopolitical power to keep a close watch on our fellow citizens. This is what Foucault conceptualized as ‘biopower (biopouvoir).’ He argued that knowledge and power are inextricably linked and they are in the circular relation of one justifying the other. Accordingly, sociopolitical problems are revealed in the problems traditionally regarded as epistemological; on the contrary, epistemological problems are found in the archetype of sociopolitical problems.
    However, Foucault openly repudiated Immanuel Kant(1724-1804) who has built an enormous theoretical discourse in an attempt to insist on the transcendental epistemology. In comparison, Foucault microscopically analyzed a concrete historical example - the birth of the prison - to maintain his own epistemological position, and in this sense his epistemology can be defined as ‘historical epistemology(épistémologie historique).’Furthermore, modern ocularcentric epistemology originated from René Descartes(1596-1650) also established the ethics of individuals. According to Foucault, modern individual ethics results from internalizing the fact that others are constantly watching me. He then pointed out that western modernity operates in the form of internalized self-regulating power. This epistemo-sociopolitico-ethical situation in general is characterized as ‘panopticism(panopticisme).’ Historically speaking, panopticism was most strikingly realized in the field of medicine and health care.
    In conclusion, the intimate relation between knowledge, power, and ethics decisively demonstrated by Foucault remains as valid and important as ev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의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