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韓國 다랑논과 라오스 하이의 모내기 比較 硏究 (A Comparative Study on the Dibbling of Rice Seeding in Korea and Laos -Especially in the Cases of Kyungbuk Sangju and Luang Prabang Province-)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09.10
21P 미리보기
韓國 다랑논과 라오스 하이의 모내기 比較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농업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농업사연구 / 8권 / 2호 / 147 ~ 167페이지
    · 저자명 : 노용필

    초록

    筆者는 2009년 5월 23일 慶北 尙州市 外西面 冠峴里의 깊은 계곡에 형성된 다랑논을
    본격적으로 답사할 기회를 가졌었다. 이 지역의 다랑논을 이 때 처음으로 접하게 된 게
    아니라 사실은 예전에도 몇 차례 방문할 기회가 있어서 그곳의 상세한 自然景觀에 대해
    서는 적지 않게 알고 있는 터였지만, 다랑논 자체에 대한 연구만을 위해서는 이 날이 처
    음이었다고 함이 옳다. 이 어간에 筆者의 관심은 新羅時代 전반의 金石文 및 古文書 資
    料 중에서 찾아지는 稻作 관련 기록들을 분석하는 데에 집중되어 있었고, 그 가운데 「潭
    陽 開仙寺 石燈記」 銘文의 ‘奧畓’이 바로 이러한 다랑논이며, 그것이 바로 中國 및 韓國
    農書에 등장하는 梯田(일본식 표현으로는 棚田たなだ)에 다름 아니라고 판단을 내렸다.1)
    1) 盧鏞弼(2009), 「統一新羅의 논농사」, 『震檀學報』 107.
    114488 농업사연구 제 8권 2호, 한국농업사학회, 2009. 11.
    이후 筆者는 사전 준비를 걸쳐 2009년 7월 9일부터 17일까지 라오스의 벼농사와 음
    식 문화에 대한 현지 조사를 하였다.2) 그러던 중 15일 현지 시간 오전 10시(한국 시간
    오전 12시)무렵에 루앙 프라방Luang Prabang의 서남 방향 30㎞ 지점에 있는 꽝시Kuang
    Si 폭포를 둘러보고 돌아오다가 루앙 프라방으로부터 약 25㎞ 되는 지점에 있는 산자락
    비탈에 있는 다랑논들을 발견하였다. 도중에도 곳곳에서 보았지만, 특히 한국의 다랑논
    과 대단히 흡사한 경관 속에 있는 그 논에서 마침 가족들과 함께 모내기에 한창인 농부
    의 양해를 구한 후 그 광경에 대한 조사와 사진 촬영을 하였다. 직후 루앙 프라방으로
    돌아와 현지인 및 연구자들에게 탐문하고 관련 자료를 찾아본 결과, 이를 하이라 부른다
    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本稿에서는 이상과 같은 경위를 통해 관찰하고 분석하여 알게 된 사실들을 토대로
    삼아, 韓國 다랑논과 라오스 하이의 모내기에 대한 比較 硏究를 慶北 尙州와 Luang
    Prabang의 경우를 중심으로 펼쳐보고자 한다. 앞으로 여러 차례의 라오스 현지 조사를
    통해 보완하고 또한 정밀한 분석을 확충할 요량으로 있으며, 또한 라오스 이외 동남아
    稻作地域의 다랑논에 대한 현지 조사도 병행하여 한국의 그것과 비교 연구를 함으로써
    다랑논 자체에 대한 것은 물론이고 궁극적으로는 韓國稻作文化 전반에 관한 연구를 수
    행하는 계획도 수립하고 있음을 아울러 밝혀 두는 바이다.

    영어초록

    formed in the deep valley in Sangju, Kyungbuk on May 23. 2009. I found some
    facts based on the above survey that farmers were cultivating rice using the
    water pooled by clapboard in deep valley, and supplying water to rice field in
    advance at the time of rice planting. They did like the way to move seedbed at
    a time using cultivators and to transplant rice after fixing seedbed. A cow did
    not plow anymore and become only a mean to make fortunes, but cow’s
    dropping, collected after mixing with straw, was being used for fertilized like the
    past.
    After the event, I had surveyed rice farming and food culture in Laos between
    July 9 - July 17. 2009 after advance preparation. I could find terraced rice field
    on the hillsides in Luang Prabang during my survey. I found a artificial pool,
    constructed by digging ground located on the top of rice fields in hillside, to
    preserve rain which flowed to rice fields in the period of rice planting. On the
    one hand, I once saw that farmers were carrying young rice plants on the back
    to move from distant place though it was normal to cultivate young rice plants in
    a corner of rice field. When farmers were planting rice, they divided young rice
    plants, sheaved it, loaded some of it on a carrying rack using long sticks like
    bamboo and carried it on the back. Though they did not use guide line for rice
    planting, they performed rice planting with keeping a certain space between rice
    韓國 다랑논과 라오스 하이의 모내기 比較 硏究
    -慶北 尙州와 Luang Prabang의 경우를 중심으로- (盧鏞弼)
    116677
    plants when farmers mixed with men and women planted rice in a line.
    Looking back upon the existing results of study, we can not explain about the
    origin, development and spread of terraced rice field without Miao(Hmong, 苗族).
    Before 6C when『Jeminyosul(齊民要術)』, written by Gasahyup(賈思勰), was
    published, the northern areas including Shandong peninsular normally made use
    of terraced rice field already. Terraced rice field is guessed to be spread in
    Korea before the period of 3 Kingdom(三韓) of Korea, but it was developed
    actively in the period of 7-9C in which Silla(新羅) unified Korea peninsular, the
    number of population was increased, and scientific technologies for many fields
    were developed. Viewing from historical perspective, Miao(Hmong) had taken
    it’s footing and base in the southern part of Yangtze river in the period of
    ancient countries like Ha(夏), Sang(商) and Ju(周), but some of them spread
    into some places in Guizhou and finally arrived in the remote place, Yunnan,
    through it, when politics was corrupted by the decline of emperors’s authority
    specially from the end of Tang(唐) to Five Nations period(五代), and wars were
    broken out in many places by government officials and militarist to hold their
    own ground in many regions. Integrating all these factors, we can deduce that
    Miao(Hmong) was deeply involved in the origin of rice farming through terraced
    rice field, found in the Laos’s northern mountain areas, and it’s spread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