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淸虛 休靜의 傳記文學 연구 - 三老行蹟과 三夢錄의 서술방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Biographical Literature of Cheongheo(淸虛) Hyujeong(休靜))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1.08
24P 미리보기
淸虛 休靜의 傳記文學 연구 - 三老行蹟과 三夢錄의 서술방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새국어교육 / 88호 / 395 ~ 418페이지
    · 저자명 : 김승호

    초록

    淸虛 休靜은 일찍부터 佛家의 걸출한 시인으로 관심을 끈 바가 있으며 그만큼 淸虛 詩의 연구는 적지 않게 집적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산문에 대해서는 논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그 점에서 본고는 그가 지은 『三老行蹟』과 『三夢錄』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전기작가로서 청허의 새로운 면모와 위상을 드러내 보고자 하였다.
    『三老行蹟』과 『三夢錄』는 僧傳찬술의 전통이 쇠미해지는 시기에 등장한 작품이라는 점에서 먼저 그 의의가 돋보인다. 『三老行蹟』은 3명의 고승을 입전한 승전이고 『三夢錄』는 先代의 역사를 포함하고 있는 청허의 自傳에 속한다. 『三老行蹟』에서 주목되는 점은 설화중심적 서술에서 탈피하여 소재와 일화를 현실태로 바꾸어 배치하며 話者이자 작가로서 확인하고 실증할 수 있는 근거리의 인물만을 전기의 대상으로 삼는다는 것이다. 내용상 세간과 출세간의 경계를 허물뿐 만아니라 생에 대해 夢中事的 인식을 드러낸다는 점도 이채롭다. 『三夢錄』은 조선에 들어와 지어진 최초의 불승 자서전으로 儒家계열의 전과 마찬가지로 가계, 선대를 확장시키는데 거리낌이 없으며 연대기적으로 생을 제시하던 방식을 택하며 의미있는 부분은 상세하게 형상화하는 대신 무의미한 부분은 과감히 생략하는 것을 본다. 그 외 夢中夢的 세계와 夢遊者的 화자인식을 드러내면서 꿈과 현실을 넘어 진실을 직관할 것을 주문하고 있다.
    청허가 찬술한 전기문학은 나려시기에서 조선중기로 이어지는 시기의 전기물로 前시대 승전 찬술의 규범을 벗어나 여러 면에서 쇄신적 요소를 내재하고 있어 문학사적 의의를 부여할 수 있다하겠다.

    영어초록

    Cheongheo Hyujeong had ever attracted an interest as an eminent poet in Buddhist family from early. A research on Cheongheo's poem is integrated as greatly as it. Nevertheless, it is the reality that a discussion on his prose was almost not mad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Hyujeong's new aspect and stature as an autobiographer, by specifically examining <Samrohaengjeok(三老行蹟)> and <Sammongrok(『三夢錄』)>, which belong to Jeon(傳) even among his prose writings.
    Hyujeong, who had been active when the phenomenon had been obvious in a decline of the tradition in Seungjeonchansul, which had been followed for long along with contraction of Buddhist power, wrote <Samrohaengjeok> and <Sammongrok>. The former belongs to Seungjeon(僧傳), which did Ipjeon of 3 high priests. The latter belongs to autobiography, which expresses own lifetime. What is noted in <Samrohaengjeok> is to be clearly revealed a point of distributing by changing material and anecdote into reality with escaping from narration of centering on tale and of having it as subject of autobiography only for the character in a short distance available for confirming and verifying as a speaker and a writer. Even a point is also interesting as saying that both works are embodying life as Mongjungsa(夢中事:remembrance of dream), as well as tearing down boundary between the mundane world and the rising in the world in light of contents. As <Sammongrok> is the first Buddhist-monk autobiography, which was composed with entering Joseon, it has no hesitation in expanding lineage and the predecessor same as Jeon(傳) in Yuga(儒家) order, and is describing with a way of boldly omitting insignificant part instead of minutely embodying significant part, with escaping from a method of having suggested life chronically. In addition, it is pointing to autobiographical writing of Simun teaching by frequently inserting Odo poem.
    <Samrohaengjeok> was separately made a print from a wood block, and is being delivered with numerous different versions. Furthermore, in a sense that the biographical literature written by Hyujeong is playing a role of a model in Seongjeon in Joseon period, with breaking from Seongjeon in the Three States and Goryeo period, which is developed centering on tale, its significance based on literary history cannot be ignor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새국어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