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녹족부인 서사에 나타난 신화적 상상력 연구 -‘반인반수’를 중심으로- (A study on mythical imagination shown on narrative of Lady Nokjok; focused on ‘therianthropy’)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4.02
18P 미리보기
녹족부인 서사에 나타난 신화적 상상력 연구 -‘반인반수’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양학 / 55호 / 1 ~ 18페이지
    · 저자명 : 강상대

    초록

    신화는 자연 현상과 만물의 이치에 대해 과학적 인식을 갖지 못한 고대인들이 상상적 사유를 통해 세상을 이해하고자 했던 것이기 때문에 일상 세계에서 경험할 수 없는 존재 또는 현상을 그려내기 마련이다. 반인반수(半人半獸)는 이러한 신화 관념이 탄생시킨 존재이다. 그러므로 신화에서 반인반수는 등장인물로서의 역할이나 모티프의 기능상 매우 중요한 서사 요소이다.
    녹족부인(鹿足婦人) 이야기는 고대인의 원형적 사유를 구현하고 있다. 녹족부인은 사슴의 동물성을 가진 아내이자 어머니이고, 그로부터 이어지는 후손에게는 신성하고 자랑스러운 조상이다. 그녀는 양육자이자 조력자로, 그리고 환란에 처한 나라를 구한 위대한 여인으로 기억될 것이므로 그녀의 사슴 표상은 친근함과 경외감으로 다가오는 동물적 요소이다. 이처럼 녹족부인 서사는 우리 민족이 지녔던 동물에 대한 고대 관념을 사슴 표상을 통해 충실하게 드러내고 있다. 이는 곧 우리 민족의 집단의식 속에 동물이 어떤 관계로 존재하는가를 말해 주며, 사슴 토템의 흔적이기도 하다.
    중국이나 일본 신화에 다양하고 빈번하게 등장하는 반인반수에 비하면, 같은 동아시아 문화권인 우리 신화에는 반인반수의 등장이 매우 제한적이다. 그런 가운데서 녹족부인은 특색있는 반인반수 존재로 등장한다. 녹족부인은 인성(人性)과 수성(獸性)의 결합이 한시적이 아니라 항구적인 반인반수이며, 그녀의 수성은 유화(柳花)와 알영(閼英)의 경우처럼 제거되어야 할 속성이 아니라 존귀한 위계와 비범한 능력을 담보하는 속성이다. 녹족부인의 반인반수에 표상된 사슴은 우리 설화의 변신 모티프에서 매우 드문 동물이다. 녹족부인 서사의 반인반수가 보여주는 이러한 성격들은 우리 신화에서는 드문 반인반수 존재의 영역을 더욱 넓혀 고찰할 수 있는 여지를 보여주고 있다.

    영어초록

    Myth was born to understand the world through imaginative thinking by ancient people who did not have scientific recognition on natural phenomena and reasoning of all the beings. Accordingly, it was natural that they created existence or phenomenon which could not be experienced. Therianthropy was born by such concept of myth. So, therianthropy is very important narrative element in role as a figure in the midst of myth or in function of motif.
    Story of Lady Nokjok(鹿足婦人) embodies prototype thinking of the ancient people. Lady Nokjok would be a wipe and a mother with animality of deer, and also an ancestor who is holy and proud to descendants. As she would be remembered as a rearer, assistant, and a great woman who saved a nation in disarrangement, symbol of deer representing Lady Nokjok is an element of animal that provides intimacy and awe. Thus, narrative of Lady Nokjok clearly discloses ancient concept of animal which our nation had through a symbol of deer. This shows in what relationship animal exists in the midst of group consciousness of our nation. This is also a trace of lost deer totem.
    Therianthropy frequently appears in myths of China or Japan but it appears very limitedly in our myth though in same East Asia cultural circle. In the situation, Lady Nokjok appears in unique existence of therianthropy. Connection of humanity and brutality in Lady Nokjok is not contemporary but permanent so that Lady Nokjok is an existence of therianthropy. Her brutality is not an attribute which should be removed like Yuhwa(柳花) and Alyeong(閼英). But this is an attribute including high, noble rank and extraordinary capability. Deer symbolized in therianthropy for Lady Nokjok is very rare animal in transformation motif of our tale.
    Such characters that therianthropy of Lady with deer feet narrative broaden and deepen domain of existence of therianthropy that is rare in our tale. As a source of mythical imagination, therianthropy is essential element to assure construction and meaning of narrative providing high engagement in cinema, TV drama etc. which are popular culture contents with high influence today. It is expected that mythical imagination evoked through Lady with deer feet can continuously expand value of national narra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