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元生夢遊錄의 문학성과 조선시대 六臣의 인식 (The Literary character of Wonsaeng-mong-yurok and the coming into existence of the Yukshin)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07.06
30P 미리보기
元生夢遊錄의 문학성과 조선시대 六臣의 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방한문학 / 32호 / 131 ~ 160페이지
    · 저자명 : 정용수

    초록

    ‘六臣’의 성립은 애초 원호의 「원생몽유록」에서 형상된 역사인물에서 비롯되어 이후 역사적 사실로 굳어졌다고 보는 것이 본고의 시각이다. 근래에 발견된 초간본 ꡔ관란선생유고ꡕ를 바탕으로 「원생몽유록」을 다시 살펴보았을 때, 기본적으로 이 작품은 계유정란 이후 왕위를 찬탈한 세조의 불의를 폭로한 작품이지 ‘육신’을 추모한 작품이 아니라는 것이다. 작품 속에 형상된 인물을 살펴볼 때 육신의 행적을 그린 작품이 아니라 작자 자신의 의식을 반영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관란정이 그 산실이고 단종 사후 3년[1460년]이 되는 기일에 지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이런 「원생몽유록」의 문학적 성격은 남효온의 「육신전」에 사실로 수용되면서 가장 절의한 인물로 이미지화 되었다는 것이다. 이후 역사로 굳어지게 되면서 문학적 형상은 간 곳 없고, 조상의 절의를 선양하기 위한 역사적 전거만 「육신전」에 편입하려 들면서 논란에 휩쓸리게 된 것이다. 1791년(정조15) 편정된 御定配食錄이 그 결정판이라 볼 수 있다.
    육신은 ‘여섯 신하’일 뿐이다. 역사인물에 대한 문학적 이해와 사실적 이해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원생몽유록」은 어디까지나 端宗悲事에 얽힌 역사인물을 형상한 허구이므로 문학적 입장을 견지해야 할 것으로 본다. 따라서 논란이 되고 있는 작품의 선후 문제 역시 첨예한 역사적 담론을 전제로 창작되는 몽유록의 성격으로 볼 때 사실로써 육신이 있는데 다시 허구로 육신을 그리고 있다는 것은 사리에 맞지 않다.
    「원생몽유록」이 단종비사보다 육신의 절의에 작품의 초점이 맞춰지는 한 이 작품의 문학적 성격은 여전히 변개와 분식을 입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영어초록

    I think that the coming into existence of the Yukshin(Six Subjects) originated in historical characters who symbolized in Wonho's Wonsaeng-mong-yurok and late cemented by historical fact. when we again inquire into Wonsaeng-mong-yurok which had been produced after the creation of its original version, that is real characters described the issue of usurping a throne of King Sejo into a dream story. that is not characters described to the memory of the Yukshin. because it is reflected his senses, if we observe the characters symbolized in the work. so it is writing at Kannanjeong on 1460.
    The literary character of Wonsaeng-mong-yurok is imaged the most keeping his principles by Yukshin-jean, and late appeared the discourse. As a result, it is focused Erjeongbaesicrok.
    A Yukshin is a six subjects. may be there are a difference of opinion in the understanding between literate and fact, but Wonsaeng-mong -yurok describes a tragic death of King Dangjong through a violent character in novel. as we attach importance to a man of principle, it may be changeable forev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한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