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우복종가 「書冊錄」의 서지학적 분석 (A Bibliographic Analysis on the Seochaengnok of the Head Family of Ubok Jeong Kyeong-se)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21.06
22P 미리보기
우복종가 「書冊錄」의 서지학적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지학연구 / 86호 / 145 ~ 166페이지
    · 저자명 : 정인영

    초록

    「書冊錄」은 우복 정경세 종가가 소장한 家藏書目이다. 가장서목은 장서를 수집한 사람의 성향을 반영하고 당시 가문이 가지고 있던 지식의 양과 경향성을 반영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가장서목의 특성에 주목하여 「書冊錄」을 서지학적으로 고찰하였다. 「書冊錄」의 가장 큰 특징은 여러 인물에 의해 대를 이어 작성되었다는 점이며 「書冊錄」의 기록들은 다양한 항목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기본적인 서명과 책수부터 부차적인 종수, 판종, 대출기록, 입수기록 등이 남아있다. 이러한 기술항목은 가장 처음 서목을 작성한 송준길이 설정한 항목이며, 후대에 작성자들은 대부분 이를 따랐다. 「書冊錄」은 크게 송준길과 정도응이 작성한 전반부와 정석교와 정주원이 작성한 후반부로 나누어진다. 전반부의 경우 일부 사부분류에 따라 기록하려던 시도가 있음이 확인되나 후반부의 경우 주제별 분류가 파악되지 않는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이다. 송준길이 자신의 장서를 정리한 「家藏書籍簿」와 「書冊錄」의 송준길 작성 부분은 작성자가 동일하고 비교적 가까운 시기에 작성되었다. 동일한 인물에 의해 작성되었기에 내용이나 항목의 유사하나 작성자의 상황에 따라 작성된 내용이 차이를 보이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렇듯 「書冊錄」과 같은 가장서목은 한 집안의 장서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좁게는 기록된 자료, 기록 방식을 알아볼 수 있고 넓게는 작성될 때의 배경과 상황, 관련 인물을 통해 가문 장서의 배경까지도 확인할 수 있다는 의미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Seochaengnok (書冊錄), Gajangseomok (家藏書目) of the head family of Ubok (愚伏) Jeong Kyeong-Se (鄭經世). Gajangseomok is the document that lists the books that has been owned by certain families. This study demonstrates Seochaengnok from a bibliographic point of view. Seochaengnok is a book written through generations by a family member of book owners. Song Jun-gil (1606-1672) and Jeong Seok-gyo (1646-1700) are definite characters who has been decisive in writing this book. The recorded content can be divided into several categories. The basic items are book titles and the number of books, and there are also various records. The biggest difference is that the first half of the book was attempted to classify according to the subject, but the second half is not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subject. Song Jun-gil also wrote GajangSeojeokbu which is a subordinate of Gajangseomok. His GajangSeojeokbu and Seochaengnok have the same author, but there is a 50 year difference in timing. Therefore, it would be significant to see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materials. This study will induce readers recognize the number of aspects such as various aspects of the collected data, background, and its utilization. Furthermore, it will explore the authors’ intentions with the analysis of these lis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