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성록 전최 계본(殿最啓本) 번역 방법론의 모색 (A Study on the Translation Methodologyfor Jeonchoigyebon(「殿最啟本」) in Ilsungnok(『日省錄』))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22.11
43P 미리보기
일성록 전최 계본(殿最啓本) 번역 방법론의 모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번역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 / 62권 / 5 ~ 47페이지
    · 저자명 : 김지웅

    초록

    본고는 일성록에 수록된 각종 기사에 대한 각각의 번역 방법론을 모색할 필요성을 제기하는 관점에서, 일성록에 수록된 정조·순조대 전최 계본을 대상으로 번역 방법론 및 그 실례를 시범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향후 일성록 번역의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일성록 번역의 현황을 검토하면 특정 기사에서 오역률이 높으며 역자에 따라 격차가 큰 문제가 주목되는데, 그 대표적인 사례가 전최 계본이다. 전최 계본은 관사에서 관원에 대해 고과한 문서를 말하는데, 관원의 실적을 8자 또는 4자에 압축하기 때문에 1자의 밀도가 높고 독특한 문법과 어휘가 있으며 수령 행정에 대한 지식을 요하여 번역 난이도가 높다.
    일성록 전최 계본 번역의 문제는, 포폄 제목의 구조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문제, 어휘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한 문제가 있는데, 어휘의 경우, 지방관의 근무 태도나 실무와 관련된 어휘의 오류와 포폄 제목의 문법과 용례의 오류로 구분할 수 있다. 문법과 용례의 경우, 행위의 주체를 잘못 파악한 주체의 오류, 포와 폄을 반대로 해석한 포폄의 오류가 있다.
    전최 계본의 번역 방법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포폄 제목을 충분히 확보하여 비교하고, 주위에 어떤 글자들이 놓였는지, 어떤 글자들과 의미망을 공유하며 관계망을 형성하는지를 살핌으로써 의미를 특정해낸 뒤 이를 바탕으로 사료에서 용례를 확인하여 번역어를 확정하는 방법이 유효하다. 예시로 ‘檢’과 ‘略’의 사례를 분석하여 그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이 논의는 일성록의 다른 기사의 번역 방법의 모색에도 일정한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present the translation methodology for Ilsungnok(『日省錄』), especially Jeonchoigyebon(「殿最啟本」), which contains various articles, the work performance evaluations of the government officials of the Joseon dynasty.
    The official’s evaluation sentence is written just in 8 or 4 characters. with a high density, unique grammar and vocabulary, and requires a precise knowledge of local administr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cure enough samples and build a database for comparison.
    It specifies the actual meaning by looking at which letters are placed near which letters and with which letters share the meaning and form a relationship. Based on this, the translated language is confirmed by checking related examples in historical records. This work can also give some insight into the translation method of Ilsungnok's other articles.
    The reason for the mistranslation of Jeonchoigyebon(「殿最啟本」) is not to comprehend properly the structure, vocabulary, grammar, and usage of each performance evaluation title, In conclusion, Jeonchoigyebon(「殿最啟本」) can be properly translated, if you: first, build the database of usage of performance evaluation titles; second, through inspection and comparison, grasp the semantic network formed between characters; third, confirm the usage of characters used in the collected documents — this seems to be the best way to translate properly the titles of the work performance evaluation To confirm the efficiency of this method, the usage of the characters ‘檢’ and ‘略’ is analyzed. It is hoped that the above discussion may give an implication for the translation of other articles listed in Ilsungnok(『日省錄』).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