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승휴(李承休) 「빈왕록(賓王錄)」 시의 시공성(時空性) 연구 (A Study on chronotope(Time and Space) in the Poems of Lee Seung-hyu's 「Binwanglok(賓王錄)」)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5.05
27P 미리보기
이승휴(李承休) 「빈왕록(賓王錄)」 시의 시공성(時空性)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남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남어문논집 / 1권 / 39호 / 127 ~ 153페이지
    · 저자명 : 엄경흠

    초록

    이승휴는 1273년(원종 14) 황후와 황태자의 책봉을 축하하는 하진사(賀進使) 원종(元宗)의 아들 순안후(順安侯) 왕종(王悰)의 서장관(書狀官)으로 원(元)나라 수도 대도(大都)에 도착한다. 관직이 없다는 이유로 중서문하성과 중추원이 점망(點望)하지 않은 것을 세 번이나 개망(改望)한 후 서장관으로 임명된 그는 원종의 절대적인 신임을 업고 1273년 6월 9일 출발하였다가 10월 3일 왕경(王京)으로 돌아왔다. 「빈왕록(賓王錄)」은 이때의 기록으로 이를 완전히 정리한 것은 사행에서 돌아온 지 17년이 지난 1290년이다.
    본고는 「빈왕록」 시에 제시되어 있는 시공성(時空性)의 변화가 어떻게 작중 화자의 사고와 행위로 나타나고 있는지 고찰하여, 앞선 논자들이 논의하였던 이승휴의 인간적 고뇌와 정치 외교적 지향의 실체를 파악하는 근거로 삼고자 하였다.
    이승휴의 역사와 원에 대한 인식 및 정치적 이상과 저술의 목적은 과거와 미래의 어떠한 것보다 현재 상황의 제시와 극복에 철저히 집중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Lee Seung-hyu arrived at Khanbaliq, the capital of the Yuan Dynasty in 1273(the 14th year of Wonjong) as Seojanggwan(書狀官) of Hajinsa(賀進使) Sunanhu Wangjong(順安侯 王悰), the son of Wonjong(元宗) with the mission of congratulating the empress and the crown prince on their installation. Though the Jungseo Munha Seong(中書門下省) and Jungchuwon(中樞院) did not interview him as he had no official position, he asked three times to be considered again and was finally appointed as Seojanggwan, With Wonjong's absolute confidence, he started on June 9, 1273 and returned to Wanggyong(王京 : capital) on October 3, 1273. Binwanglok was created in this period and was completed in 1290, 17 years after he returned from his diplomatic mission.
    This paper aims at grasping Lee Seung-hyu's agonies as a human being and his diplomatic intentions that scholars discussed previously by investigating how the changes of chronotope(time and space) in the poems of Binwanglok reflected on the narrator's thought and behavior.
    Lee Seung-hyu's political ideal and purpose of writing the work as well as his understanding of history and the Yuan Dynasty were thoroughly concentrated on raising present situations and overcoming them, not on the issues of the past and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