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설의 크로노토프와 여성서사 시학(3) (Chronotope in the Novel and Poetics of Female Discours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06.06
37P 미리보기
소설의 크로노토프와 여성서사 시학(3)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여성문학연구 / 15호 / 261 ~ 297페이지
    · 저자명 : 안숙원

    초록

    본고는 여성가족사소설 『혼불』과 죽음의 크로노토프를 검토한 것이다. 죽음의 크로노토프는 실제 장소와 기호학적 죽음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전자는 청암부인의 무덤, 후자는 인물들의 죽음과 죽음에 관련된 각종 의례, 민속소재들-망혼제, 평토제, 혼불, 투장, 제문, 열녀비, 액막이연…… 따위로 제시된다. 이처럼 죽음은 『혼불』의 서사소(narrativity)로서 작중인물들은 타나토스에 깊이 강박돼 있다. 하지만 그 죽음은 생명의 씨앗이 되어 조상과 자손의 세대가 교체, 지속하는 자연의 로고스로 간주된다. 죽음의 크로노토프에서 보자면, 『혼불』은 영생, 순환하는 한국인의 존재론을 서사화한 살(肉)과 뼈(骨)의 축제다. ‘살로는 情을 나누고, 뼈로는 일을 한다’고 했다. 청암부인이 몰락한 종가를 ‘내 홀로 내 뼈를 일으키리라.’고 다짐하듯 일제 치하 망국민으로 무기력한 남성을 대신해 종가를 지켜낸 여성 3대(청암부인-율촌댁-효원)를 비롯, 민족의 보존을 떠맡은 여성들의 수난사가 『혼불』의 기둥줄거리다. 하지만 플롯층위에서 『혼불』은 플롯없는 열린 텍스트이다. 장황한 수사, 에피소드들의 나열, 시간모순 등으로 시점의 혼란이 많고 결말다운 결말이 없다. 이를 판소리와 같은 부분의 독자성으로 볼 수도 있지만 소설담화의 적정성을 고려하면 서사단위들의 파편화를 응집하는 데도 크로노토프는 유용한 개념이라고 생각된다.
    한편 『혼불』은 일제 치하 창씨개명과 더불어, 냇물을 사이에 두고 원뜸/아랫몰의 지지적 공간분할에 따른 예각화되는 것을 통해 가계연속성 욕망과 민족주체성을 동일시한 여성가족사소설의 특성을 보여준다. 동시에 『혼불』은 여성신체의 풍요원리, 집안살림의 내공쌓기로 여성성을 고양시키고 자력으로 가문의 혼불이 된 종부를 통해 타자의 디스코스를 재현했다. 무엇보다 언술층위에서 『혼불』은 전통사회 여성들의 구연담화와 내간체의 기록담화를 혼합하고, 흡인력을 발휘하는 풍부한 비유와 생기있는 묘사로 소설언어의 영역을 최대한 확장했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Chronotope in the Novel and Poetics of Female Discourse ― Focusing on Honbul of Choi, Myoung-Hee ―

    *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Grant.
    (KRF-2002-050-A00015) Ahn, Sook-Won*

    I have examined a novel of womans' family history Honbul and the chronotope of death. The chronotope of death is divided into reality and semiotic death ; the former is tombs of Mrs. Chungam while the latter is many kinds of rites relating to the death of characters and folk customs. This includes the following : performance of a soul marriage of a dead boy and girl, funeral, the rite of making evenly tomb, the rite of the finishing cry, a blue fire from the dying person's body, losing flesh from the dead body, destroying Mrs. Chungam's grave and burying Hongsool's bones there by Mandong, a letter of the sacrificial rite, and a tombstone of a virtuous woman, etc. Thus death is the kernel narrative of Honbul, and the characters in the novel are possessed by thanatos. Also, the death becomes a seed of life, so it's considered as a progress of a shift in generations. That is an ambivalence. Therefore, Honbul is a festival of flesh and bone based on the eternal, circulating ontology of Korean people. It has been said that human-beings have affection together with flesh and works with bones. As Mrs. Chungam decided to rebuild a declining head family of Maean Lee, she gives her word, ‘I will rebuild my bones by myself’ without her husband to share affection with. The main subject of Honbul is the suffering history of women as a ruined nation's people, without a father in a patricentric society where father is country and mother is nation. Moreover, when making a new family name was enforced by colonizers of Japanese imperialism, a conflict between the family name of Maean Lee trying to keep seed(=blood), and Gumanggul, Goribaemi (the lowest class in contemporary society) to take revenge on Maean Lee's family and the upper class by changing family name became conspicuous. Honbul is an open text without plot, closure. Then it brings about talkative, extended rhetoric, parade of episodes, zero of narrative speed, achronicle, it maintains coherence of the text by individuality, similarity of motives, and association instead. It's like a part of Pansori. Even though, in Honbul the woman narrative enhances feminity with discourse on female's body and evaluation of domestic-affairs, it's an antifeminism text that characterizes a patriarchal wife of the head family. None the less, the great figuration and vivid descriptions by accomplishing poetic style as an absorption of magic power in Honbul makes us identify the life of the antifeministic head family's wife with male's point of vie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