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노(能) 「우네메(采女)」의 기우 의례적 성격 (The Study of Nho “Uneme” and Rain-making Ritual)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8.06
35P 미리보기
노(能) 「우네메(采女)」의 기우 의례적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일본공간 / 23호 / 215 ~ 249페이지
    · 저자명 : 김현욱

    초록

    노(能) 「우네메(采女)」는 법화경의 용녀성불 사상을 배경으로 하고 있으면서동시에 가스가 신(春日明神)의 은혜에 대해서도 비중 있게 다루고 있다. 이는 중세 종교문화의 특징인 신불습합 사상의 영향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용녀성불(龍 女成仏) 사상과 사루사와(猿沢) 연못을 중심으로 한 용신 신앙이 작품의 축을 이루고 있으며, 그 위에 고래의 기우 풍속이 투영되어 있다. 가스가산(春日山)에서가스가 신사 연기(春日神社緣起)를 들려주던 시테가 갑자기 장소를 바꾸어 사루사와 연못가로 이동하여 우네메 전설을 이야기하는 구조에 대해서, 내용상의 연결이 매끄럽지 않으며 이미지의 통일성이 없다고 지적한 연구도 있다. 하지만, 노가 만들어진 중세 당시 신불습합의 영향으로 가스가 신사와 고후쿠지(興福寺) 가 일체라는 관념이 현저했고, 가스가산과 사루사와 연못 일대가 용신 신앙의 중심지로 연결되어 있었다는 점을 상기하면, 노 「우네메」의 이미지가 산과 호수, 즉 가스가산과 사루사와 연못으로 분리되어 있다고 보는 것은 현대적인 감각에불과하다고 할 수 있다.
    「우네메」는 노 이론서 『사루가쿠단기(猿楽談儀)』에 ‘아마요로코비 노(雨悦びの 能)’ 중의 하나로 소개되고 있다. ‘아마요로코비 노’는 비를 기원하는 노라는 의미이다. 기우 의례에서는 비를 관장하는 용신을 위해 부가쿠(舞楽), 가구라(神楽), 사자춤 등의 다양한 예능을 봉납해 왔고, 그 중에는 가무극인 노도 포함되어 있다.
    「우네메」를 비롯한 아마요로코비 노’의 선정 배경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연구된바가 없지만, 용신 신앙과 기우 의례 풍속과의 연관을 중요한 요인으로 들 수 있을 것이다. 「우네메」의 시테는 왕의 총애를 받지 못해 사루사와 연못에 몸을 던진우네메이다. 야마토 정권 성립기의 우네메는 종교적인 성격이 강했으며, 왕의 최측근에 있었던 여성으로 높은 지위에 있었지만, 그 화려했던 역사는 오래가지 않았고, 후대에는 하급 궁녀 중의 하나로 전락하였다. 노는 연못에 투신한 우네메전설을 전거로 하여 우네메 비화를 말하고, 동시에 우네메 비화를 불교의 공덕에의해 우네메가 ‘용녀성불’하였다는 이야기로 각색하였다. 노의 마지막 부분을 보면 용녀로 성불한 우네메가 환희의 죠노마이(序之舞)를 추자 세찬 비가 내리기 시작한다. 이 부분은 노 「잇카쿠센닌(一角仙人)」의 센다(扇陀) 부인과 신센엔(神泉 苑)에서 시라뵤시(白拍子)를 추던 시즈카고젠(静御前)의 일화에서도 볼 수 있는 춤과 강우의 구조와 매우 유사하다. 즉, 여성의 주술적인 춤에 감화된 용신이 비를내리는 구조로, 기우 풍속의 투영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다. 또, 「우네메」의 대사중에는 바다 속, 호수 수면, 파도, 창가로 들어오는 비 등, 물 혹은 비와 관련된어휘를 반복적으로 사용하고 있어 물의 이미지를 강하게 느낄 수 있다는 점이 ‘아마요로코비 노’ 로 선정된 요인의 하나로 보인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시테가 사루사와 연못을 지키는 용신으로 화하고, 노의 공간적인 배경이 고후쿠지, 사루사와연못, 가스가 산으로 이 일대가 용신 신앙을 중심으로 하여 하나의 성지로 연결되었다는 인식이 ‘아마요로코비 노’의 선정 요인으로 강하게 작용했다고 할 수 있을것이다.

    영어초록

    Nho “Uneme” contains belief of Buddhism and Shintoism. In Nho “Uneme,” especially, Buddhism and Shintoism are connected through religious belief Ryuzin (竜神). This research has focused on Shintoism appeared in the “Uneme.” Ancient Japanese believed that a dragon is a ruler of rain and pleasing the dragon will make it rain. Based on their belief, the ancient Japanese held a ceremonial event for Ryuzin, praying for rain. During the ceremony of rain, people often performed dancing or singing.
    Nho is a performance that represents medieval period. Actors chose which Nho to play during the ceremony. “Amayorokobi Nho” was what they called and “Uneme” is one of “Amayorokobi Nho.” What were the reasons that Nho actors chose “Uneme” as part of “Amayorokobi Nho”? First, it is because “Uneme” has strong relation with “Ryuzin.” The main character in Nho “Uneme” is a maid in a palace, and she was called Uneme. Originally Uneme appeared as Shaman, and she was high in position. However, as time goes by, Uneme was treated as a maid in a palace. The Uneme, the main character, in Nho “Uneme” is who threw herself in a Sarusawa pond and ended her life after forsaken by the king. The Uneme ended her life by throwing herself into the pond but, resurrected as a Dragon and staying in Sarusawa pond. Ryuzin belief runs deep in Sarusawa pond and Kasuga shrine near the pond. The reasons Nho “Uneme” played as “Amayorokobi Nho” are “Uneme” was geologically based on a place where Ryuzin belief is widespread, and the main character was reborn as a dragon. Second, often lines in Nho “Uneme” contain water and rain. Continuous use of vocabulary such as under the sea, a surface of a lake, wave, or rain in Nho lines strongly visualizes water in the play. Lastly, Zyonomai, the dance Uneme beautifully performed contains shamanistic power which prays for rain. Uneme’s Zyonomai is analogous to Sendabunin or Shizukagozen dance which also had the shamanistic power of ra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공간”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