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향'으로서의 북녘, 통일을 위한 정서적 유대 공간으로의 가능성 (North Korea as 'Our hometown' - Potential space of emotional solidarity for unification)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7.09
36P 미리보기
'고향'으로서의 북녘, 통일을 위한 정서적 유대 공간으로의 가능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통일인문학 / 71권 / 39 ~ 74페이지
    · 저자명 : 박재인

    초록

    이 글은 통일 과정과 통일 이후를 고려할 때 중요한 문제인 코리언의 정서적 통합을 위하여 ‘고향으로서의 북녘’ 문제를 논하였다. ‘북’과 관련된 것에 대한 적대감이 북녘에 고향을 둔 이들에게 이산의 아픔을 가중하고 있는지를 탈북민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남한사회의 북에 대한 적대감 내지 거부감은 고향을 그리워하는 탈북민에게 질책과 비난으로 이어지기 쉬웠는데, 그러한 민낯의 감정들은 인터넷공간에서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그리고 탈북민들의 망향의식은 탈북민이 주관하는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진솔한 마음들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글은 인터넷공간을 중심으로 탈북민의 망향의식을 둘러싼 양쪽의 솔직한 이야기를 살펴보면서 ‘고향’을 중심에 둔 코리언의 정서적 통합에 대한 가능성을 논하였다.
    2016년 탈북민 대상 설문조사 및 2012년에 일어난 탈북민 재입북 사건에 대한 인터넷 공간의 댓글은 남한주민들의 시선을 확인하게 하였다. ‘북으로 돌아가고 싶다’는 탈북민들의 의사는 곧 ‘기회주의자’, ‘간첩’ 등의 비난으로 이어졌으며, 일부 탈북민의 일탈행위는 탈북민 전체에 대한 평가로 확대되어 있었다. 이러한 평가에 대해 일부 탈북민들은 고향에 대한 그리움마저 오해되는 상황에 억울함을 호소하였다. “북한으로 돌아가고 싶은가?”라는 질문을 둘러싼 논쟁에서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은 분단 트라우마의 단면이었다. 탈북민의 북한 지향성에 대해서 ‘고향에 대한 그리움’이라는 인간의 원초적 정서는 배제되어 있고, 곧 ‘재입북 의사’라고 단정하는 의혹의 시선만이 자리잡혀 있었던 것이다.
    한편 탈북민들이 남한사회의 눈치를 보지 않고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마음껏 표출할 수 있는 인터넷공간 속 탈북민의 망향의식은 일상적이고도 강렬했다. 탈북민들이 주관하는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일상 곳곳에서 자극되는 고향과 가족에 대한 그리움으로 넘쳐흐르고 있었다. 그리고 그들이 기억하는 고향은 이상화된 아름다움에만 그치지 않았다. 그들의 향수를 자극하는 고향의 풍경은 북한의 어두운 면을 담은 장면들이었다. 이들이 떠올리는 고향의 풍경은 이상화된 고향이 아니라, 가난과 배고픔에 시달리는 어린이들이나 척박한 환경과 고된 노동 현장의 장면들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그리움과 결부된 정서에는 아픔과 죄의식이 있었다. 즉 탈북민들이 기억하고 그리워하는 고향의 풍경은 고향을 떠나올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상기시키고 죄의식을 자극하는 장면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이제 북녘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이 필요할 때이다. 남한사회에서 탈북민은 자유롭게 고향에 대한 애착과 아픔, 죄의식을 드러내기 어렵다. 그리고 여러 방면에서 이들의 ‘주체적 말하기’는 계속 위축되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들의 고향과 결부된 상처는 계속 가중된다. 그러한 점에서 탈북민들의 인터넷 커뮤니티는 이들에게 ‘치유’의 역할을 하고 있는 ‘친밀권’으로 기능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치유의 기능이 지속되기 위해서 이들의 친밀권은 보다 공적인 영역으로 확장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탈북민들의 망향의식에서 발견되는 이중적 장소애는 이 사회의 공동체로부터 공감과 긍정을 획득할 만한 요소를 지니고 있으며, 북녘이라는 금기의 땅이 회복해야할 ‘코리언의 고향’으로 재해석될 수 있는 가능성을 품고 있기도 하다. 그리고 탈북민의 망향의식을 중심에 둔 코리언의 정서적 통합은 그간 북에 고향을 두고 아파했던 실향민과 코리언 디아스포라의 연대를 통해 가능하며, 더 넓게 확대하면 급격한 사회변동을 경험하고 낙후한 고향을 떠나온 중장년 세대의 공감을 통해서 가능할 수 있다. 즉 ‘떠나올 수밖에 없는 이유는 분명하지만 고향이기에 그리운 곳’이라는 탈북민의 망향의식은 코리언의 공적 기억으로서 정서적 통합의 바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an issue of 'North Korea as our home town' for emotional unification of Korean people was discussed because this issue is an important subject considering unification process and its post situation. Whether hostility in connection with an issue of 'the North' aggravates distress of the people whose home town is North Korea was observed based on North Korean refugees. Hostility of South Korean society against North Korean refugees could lead to reprimand and criticism and such naked emotion was plainly exposed in internet space. And homesickness of the North Korean refugees could be confirmed from the comment of online community hosted by North Korean refugees and in such online comments, frank story of both sides for homesickness of North Korean refugees could be observed and emotional unification of Korean people was talked about based on their respective 'hometown'.
    A survey on North Korean refugees in 2016 and online comments for a case of re-entry of refugee into the North Korea in 2012 drew an attention of South Korean people. Intention of North Korean refugees who spoke their mind of 'wishing to go back to North Korea' immediately led to criticism of 'opportunist', 'spy' and deviant act of some refugees was extended to evaluation of overall refugees. Against this evaluation, some refugees complained of an injustice under the situation that even homesickness was misunderstood. What could be confirmed from a controversy around a question that "Do you want to go back to North Korea?" was one side of divided country's trauma. For North Korea orientation of refugees, original human emotion of 'nostalgia for hometown (homesickness)' was excluded and only suspicious look of concluding it as 'intention of re-entry into North Korea' was settled down.
    On the other hand, homesickness of refugees in online space that could be expressed to their heart's content without minding the others was routinely strong. Online community hosted by refugees was full of longing for their hometown and family being stimulated by everyday life. And the hometown in their memory was not ended up with just idealized beauty. Landscape of hometown stimulating their nostalgia was the scenes containing dark side of North Korea. Through the scenes of children suffering from poverty and hunger or barren environment, hard working site, they mollified longing for their hometown. There were suffering and a guilty sense in their longing emotion. In other words, landscape of hometown that refugees are longing for and remember was a scene that reminds them of a cause of compelling them to leave their hometown and stimulates guilty sense.
    Now is the time that a new perspective watching North Korea is required.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n society are hard to freely expose attachment to their hometown, suffering, guilty sense and a trauma being connected with their hometown is continuously aggravated under the situation that ‘their independent speaking' is withered in several area.
    Under this background, online community of refugees is considered to be functional as 'intimate sphere' that plays a role of 'healing' them. And in order to maintain sustainability of such healing, such intimate sphere shall be extended to more public sphere. In particular, dual topophillia being found in homesickness of refugees has an element of acquiring sympathy and affirmation from the local community of this society and has a possibility that a land of taboo called North Korea may be reinterpreted as well. That is to say that through a solidarity between suffering displaced North Korean people and Korean Diaspora and to more extended meaning, through a sympathy of middle-aged generation who left their backward hometown after experiencing drastic social change, 'Our hometown' could be taken back again. Homesickness of refugees who acknowledge dark side of North Korea that is 'a missing place because it is their hometown even though a cause of having to leaving there was clear' would become a foundation of emotional integrity as a public memory of Korean peo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