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87년 체제와 멜로드라마 - <모래시계> 분석을 중심으로 ('87 regime and Melodrama-Focusing on 〈Sandglass〉 Analysi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3.06
30P 미리보기
87년 체제와 멜로드라마 - &lt;모래시계&gt; 분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민주주의와 인권 / 23권 / 2호 / 163 ~ 192페이지
    · 저자명 : 박숙자

    초록

    <모래시계>는 1995년 64.5%의 높은 시청률을 기록한 SBS 드라마로, 지상파 TV에서 ‘5・18 민주화운동’, ‘동일방직 사건’, ‘YH 사건’, ‘삼청교육대’ 등 1970-80년대의 주요한 현대사를 배경으로 피해/고통받은 개인들을 가시화한다. 본고에서는 <모래시계>를 1970-80년대 국가폭력으로 피해/고통받은 개인의 미덕을 과잉된 감정으로 재현하는 멜로드라마로 가정하며, 87년 체제의 정치적, 윤리적 공백(위기)을 배경으로 강렬한 파토스가 촉발되는 양상에 주목했다.
    <모래시계>는 1970-1980년대를 배경으로 가난과 반공주의 등의 사회적 차별을 경험하는 두 인물이 국가 폭력에 연루, 공모하면서 피해와 위험, 적대와 경쟁 속에 놓이는 고통의 역사를 재현한다. 태수/우석은 5・18 민주화운동에서 시민군/진압군으로 대립하거나 삼청교육대에서 피해자/조력자로 배치된다. 두 인물의 대립은 국가권력을 담지하는 시점에 적대적 관계로 전환되어 태수가 신체/폭력/사랑으로, 우석은 이성/비폭력/법으로 재현되다가 결국 태수를 실패/처벌/희생되는 것으로 끝난다. <모래시계>는 이처럼 현대사에 연루된 개인의 고통/희생을 가시화하면서 대중의 파토스를 촉발시켜 낸다. 그런데 87년 체제 직후 법정립적/법보전적 폭력을 합리화하면서 처벌/희생이 다시 반복하자 혜린은 87년 체제의 불완전성을 슬픔의 정동으로 전치시켜 내며 대중적 애도를 매개한다. 요컨대 <모래시계>는 윤리적・사회적・정치적 불안을 배경으로 ‘87년 체제’의 도래와 함께 잊혀지거나 외면된 가치에 대한 애도를 멜로드라마의 문법으로 재현하며 87년 체제 이후에 민주주의적 정동을 소환한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Sandglass〉 was analyzed as a melodrama embodied in the 87regime. 〈Sandglass〉 was analyzed as a melodrama embodied to 87 The film had a high audience rating of 64.5% when it was aired in 1995. It not only reproduced the 5・18 Democratization Movement for the first time on terrestrial TV, but also represented the affective structure of young people who “survived” through modern history of the 1970s and 1980s, including ‘DongilTextile demonstration’, ‘YH demonstration’, and the ‘Samchung Reeducation Camp’. In 〈Sandglass〉, if Tae-soo is characterized by body/violence/love, Woo-seok is characterized by reason/nonviolence/law. In the process of the two characters leaving their hometown and moving toward the achievement of desire, differences and confrontations become visible. For example, in the 5・18 Democratization Movement, they were confronted by suppression forces and civic forces, or they were located as military assistants/victims at the ‘Samchung Reeducation Camp’. The hostile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character began in earnest from the time Woo-seok became a prosecutor, and Woo-seok, who represents reason/nonviolence/law, punishes Taesoo, who represents physical/violence/love.
    Tae-soo's death is also a punishment according to the existing legal order(‘rechtserhaltend Gewalt’), but it was sacrificed for the time to come. In other words, it is not ‘rechtserhaltend Gewalt(violence)’, but ‘rechtsetzende Gewalt(violence)’. ‘1987’, where Taesoo's execution is carried out, is not a time background, but a teleological time called ‘87 regime’. Woo Seok's willful attitude in his argument on the death penalty makes it clear that Tae-soo is a private individual, but also a symbol of an era. In 〈Sandglass〉, Tae-soo is a person who experiences, witnesses, or is involved in state violence in the 1980s. Pain, violence, wounds, and love in the 1980s are recorded through the eyes, ears, and wounded body. In other words, Tae-soo is a person who experienced the reality of the country in the 1980s through wounds and violence, and is an expression of the 1980s condensed by wounds and violence. What made Woo-Seok a victim of Tae-soo is Woo-Seok's (elite male) will to judge the order before 1987. However, Hyerin reveals that Woo Seok's judgment may also be a discourse of ‘87 regime’ that considers the confrontational structure of the 1980s/90s. Hyelin's voice is another voice that embodies the ambivalent affective structure of the 1990s that considers ‘87 reg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주주의와 인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