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016년 개정 「아동복지법」에 관한 법정책적 고찰 (A Legal Policy Consideration for 『The Child Welfare Act』 revised in 2016)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6.12
34P 미리보기
2016년 개정 「아동복지법」에 관한 법정책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19권 / 4호 / 103 ~ 136페이지
    · 저자명 : 문영희

    초록

    우리 사회에서 아동학대의 심각성이 대두되면서 아동에 관한 사회적 관심이 고조되었고, 이에 따라 아동복지나 아동보호의 강화에 대한 요청이 거세지면서 이러한 여론의 흐름을 반영하기 위해 지난 19대 국회에서는 아동복지나 아동보호에 있어서 미비점으로 지적되어 온 부분등에 대하여 많은 입법적 보완이 이루어졌다. 그 중에 하나가 아동복지법의 개정이다. 아동복지법은 지난 19대 국회에서는 타법개정에 의한 경우(5번)를 제외하고는 총 5번의 일부개정이 있었다. 본고에서는 그 중에서 2016년 3월 22일 개정된 아동복지법(법률 제14085호)을 대상으로 하여 그 개정내용에 대한 분석·검토해 보고, 수정·보완할 점을 제시해 보았다.
    2016년 개정법의 개정내용을 보면 아동 관련정책의 효율화 도모, 아동보호의 강화, 아동 보호기관 및 시설의 기능강화로 대별할 수 있다. 특히 개정법에서 아동복지의 실현을 ‘원가정보호’에 두면서, 아동보호를 위한 조치의 마련과 제도개선에 중점을 두고 개정이 이루어진 것은 매우 바람직하다. 또한 아동보호에 있어서 미비했던 부분과 실무현장에서 어려움으로 지적되었던 부분에 대한 보완이 이루어져 아동의 권익보호에도 상당히 유익한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아동의 권익보호를 충실히 하기 위해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장 또는 아동복지시설의 장이나 종사자에게 소정의 의무를 규정하는 등, 강제적 이행을 강구하면서도 이를 위반한 경우에 대한 처벌규정이 미비하여 선언적 규정에 그치고 있다. 아동복지나 아동보호를 위한 제도개선에 있어서도 여전히 아동을 보호의 대상으로만 여기고 있는 듯 해 보인다.
    아동은 우리의 미래인 만큼 아동의 복지구현이나 권익보호를 국가적 과제로 인정하는 인식전환이 요구되며, 따라서 이를 위한 기본법인 아동복지법에서도 아동보호를 위한 형식적인 처우나 제도의 마련으로 만족할 것이 아니라 아동이 진정으로 안전하고 행복하게 성장할 수 있는 실질적인 수정·보완이 이루어질 것을 기대해 본다.

    영어초록

    Social concern for children was heightened due to the raised seriousness of child abuse in our society, and therefore the request for reinforcement of child welfare or child protection was increased, hence additional legislative measures have been made to improve the parts which were regarded as inadequate for child welfare or child protection in the 19th National Assembly to reflect this stream of public opinion. The amendment to the Child Welfare Act is one of them. There were five partial revisions to the Child Welfare Act in the 19th National Assembly, excluding 5 cases by the amendments of other laws. In this thesis, I suggested what should be modified and remedied for the amendment on Child Welfare Act revised on March 22nd, 2016(Act No.14085) after the analysis and examination on it.
    In the details of the revised Child Welfare Act, it can be generally classified as the following; plan for the efficiency of child-related policy, reinforcement of child protection and reinforcement of the functions of child protection institutions and child shelters. It is desirable that the priority of implementing the revised Act is focused on preparing measures and improving the system for child protection, particularly with regard to the ‘protection of the original family’ as the fulfillment of welfare in the revised Act. It is also considered significantly valuable that there are remedies for inadequate sections in child protection and sections that used to be indicated as problems in the field.
    It is regulated that the fixed obligation is imposed on the directors of national institutions, local governments and child welfare institutions to faithfully implement the protection of children’s rights, however, it is nothing more than just declarative regulations since there are inadequate punishment regulations for cases of violation, thus, remedies for these matters are demanded. In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for child welfare or child protection, it is required to be modified or remedied that the child is still regarded as an object of protection.
    Since it is true that children are our future, a change of recognition that the realization of child welfare and the protection of children’s rights are national tasks is required. Hence, in revising the Child Welfare Act, the fundamental law for child welfare and children’s rights, I anticipate that the implementation of practical modifications and remedies for the growth of children with sincere safety and happiness rather than just be satisfied with perfunctory treatment or preparation of the system.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