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50년대 김영선의 ‘자유경제’정책론 형성과 전개 (The Formation and Evolution of the “Liberal Economic” Policy Theory of Young-Sun Kim in the 1950’s)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9.03
38P 미리보기
1950년대 김영선의 ‘자유경제’정책론 형성과 전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방학지 / 186호 / 329 ~ 366페이지
    · 저자명 : 오진석

    초록

    본고는 제2공화국에서 재무부장관을 지내며 각종 경제정책을 주도했던 김영선의 ‘자유경제’정책론에 대해서 살펴본 논문이다. 김영선은 1950년대에 ‘反이승만’ 정치노선을 일관되게 걸으면서 이승만정권의 경제정책에 대하여 신랄한 비판을 전개하고 있었다. 김영선은 농촌경제의 파탄 원인을 이승만정권의 조급한 자본형성정책에서 찾고,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실시한 경제안정화정책 때문에 농촌경제는 오히려 악화되었다고 주장하였다. 특히 인위적인 시장가격의 왜곡으로 인한 공정시장과 암시장의 분리는 특권층을 양성하고 부정부패를 성행하게 만들었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치부한 특권층을 ‘정상배’라고 칭하고, 이들과 결탁하여 갖가지 혜택을 제공한 관료들을 강하게 비판하면서, 이 시기의 경제를 ‘관권지배’ 경제구조라고 명명하였다.
    김영선은 ‘관권지배’ 경제구조를 해체할 방안을 ‘자유경제’원칙의 준수에서 찾았다. 그러나 자유경제에 기초한 경제활동은 빈익빈 부익부 현상을 초래할 위험을 내포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그는 ‘사회정의에 입각한’ 공정한 분배제도가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그가 주장하는 ‘자유경제’원칙은 ‘자유방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다. 과학적, 합리적인 경제계획을 수립해 정책을 마련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를 “계획 있는 자유경제”라고 불렀다. 그런데 경제계획의 수립에 앞서 가격기구의 정상화를 통한 시장경제의 확립이 긴요하다고 역설했다. 가격기구의 왜곡부터 해결하지 않으면 정상배를 제거할 수 없고 국민대중의 협력을 얻을 수 없다고 주장한 것은 이 때문이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liberal economic” policy theory of Young-Sun Kim who was Minister of Finance in the Second Republic. Kim attributed the failure of the rural economy to the rash capital formation policies of the Rhee government and argued that the economic stabilization policies that were designed to suppress inflation actually worsened the rural economy. In particular, the differentiation of the official market and the black market due to the distortions of the artificial market prices fostered a privileged class and increased corruption. Kim labeled the privileged class that had accumulated wealth through illegal means as “political businessmen,” and strongly criticized the government officials who colluded with and supplied this class with benefits. He described the economy of this period as an economic structure of “government domination.” Kim believed that the way to eliminate the “government domination” economic structure could be found in following “liberal economic” principles. However, the economic activities of a liberal economy also had the danger of the rich getting richer and the poor getting poorer. For this reason, he argued that a fair distribution system based on social justice was also necessary. Meanwhile, his liberal economic principles did not mean a laissez-faire economy, and he believed that scientific and rational economic plans had to be established to proceed with policy. He called this “a planned liberal economy.” However, before establishing the economic plan,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a market economy through normalization of the price mechan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