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화랑(畫廊)에 대한 재고찰 –1970년대를 중심으로- (Galleries Reconsidered – A Study Focusing on the 1970s)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8.12
21P 미리보기
화랑(畫廊)에 대한 재고찰 –1970년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연구 / 35호 / 243 ~ 263페이지
    · 저자명 : 김한나

    초록

    화랑은 미술사와 매우 긴밀한 관계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순하게 미술품을 매매하는 공간으로만 평가되면서 그 역할과 활동이 연구되지 못한 측면이 있다. 특히 1970년대에는 한국 현대미술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1970년대 화랑에서 열린 전시를 통해 전위미술 그룹의 다양한 실험 미술 전개, 단색조 회화의 첫 발표, 한국 현대미술 기점 제시, 미술비평지를 비롯한 미술 잡지 창간, 이중섭과 박수근을 비롯한 근대 미술 작가 회고전과 화집 발간, 동양화단의 세대교체와 현대 실경산수 전개, 판화의 장르화 등 한국 현대미술의 중요한 사건들이 나타나게 된다.
    본고에서는 1970년대 개관한 화랑 가운데 전시 활동을 통하여 당시 미술계 흐름과 깊은 관련을 보이며 뚜렷한 족적을 남긴 명동화랑, 현대화랑, 동산방화랑의 주요 전시 활동들을 고찰하였다. 1970년대 명동화랑은 전위미술 작가들의 발표기관으로 작용하였고, 동산방화랑은 30·40대 동양화 중견작가들을 집중적으로 조명하여 동양화단 세대교체를 성공적으로 견인하여 미술계의 신진작가 발굴에 앞장섰으며, 현대화랑은 박수근, 이중섭 등 근대 미술 작가 전시 개최와 화집 발간을 통해서는 미술사적 담론을 형성하여 작가가 미술계와 대중에게 재조명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고미술품 중심의 미술시장에서 전시를 통해 동시대 미술품을 적극적으로 유통시켰으며, 『현대미술』, 『화랑』, 『미술춘추』 등의 잡지를 창간하여 대중에게 미술문화를 전파하였다. 이를 통해 1970년대 화랑이 미술관이 부족한 미술계 상황 속에서 미술관, 미술평론, 상업 공간 등의 다 기능을 수행하는 복합공간이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Despite the intimate link between galleries and art history, the former have in many ways beenregarded merely as spaces for buying and selling artworks, with little research having been conductedinto their roles and activity. Galleries played a particularly important role in Korean contemporary arthistory in the 1970s. Exhibitions held in galleries at this time gave rise to crucial events in Koreancontemporary art,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diverse experimental art by avant-garde groups, thefirst exhibitions of monochrome painting, proposed starting points for Korean contemporary art, thepublishing of critical and other art magazines, retrospectives of works by modern artists such as LeeJung-seob and Park Soo-keun and publication of books of their paintings, the transition to a newgeneration of Oriental-style painters, the development of contemporary real-scenery landscape painting,and the establishment of prints as a genre.
    This study is an examination of major exhibitions held by Myongdong Gallery, Gallery Hyundaiand Dong San Bang Gallery, three venues that opened in the 1970s and became intimatelyconnected to artistic trends in this period through their exhibitions and other activities. MyongdongGallery played a role in publicizing avant-garde artists in the 1970s. Dong San Bang Gallerysuccessfully achieved a change in generations by focusing on established artists in their 30s and 40s,and played a leading role in discovering new artists. Gallery Hyundai held exhibitions of works bymodern artists such as Park Soo-keun and Lee Jung-seob and published books of their paintings,forming art historical discourses and bringing renewed attention for these artists in the art world andamong the general public. Through their exhibitions, these galleries actively distributed contemporaryartworks in an art market previously dominated by antique works. They also helped spread artisticculture among the general public by publishing magazines such as Hyundai misul (“Contemporaryart”), Hwarang (“Gallery”) and Misul chunchu (“Art Year”). It is thus clear that galleries in SouthKorea in the 1970s functioned as multipurpose venues, playing roles of museums, critics andcommercial spaces at a time when the country lacked sufficient art museu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