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660년 전후 신라의 대외위기와 장의사 창건 (Silla’s External Crisis Around 660 and the Foundation of Janguisa Temple)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3.11
31P 미리보기
660년 전후 신라의 대외위기와 장의사 창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서울학연구 / 93호 / 75 ~ 105페이지
    · 저자명 : 임평섭

    초록

    장의사는 신라 무열왕 시기에 장춘과 파랑이라는 신하를 위해 세운 사찰이다. 장의사는 신하를 위해 창건했다는 목적과 함께 백제 병합을 시도하고 있는 660년 을 전후한 시기에 세웠다는 시기적인 특징이 주목된다. 이와 더불어 장의사 창건 설화에 언급된 백제와 밀접한 장소가 아닌 한강 이북이라는 다소 동떨어진 장소 를 선정한 것은 특별한 정치적 의도가 있었음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다. 이 글에 서는 장의사의 창건 목적과 장소적 특징을 당시 신라가 직면했던 대외위기 상황 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특히 신라가 백제를 병합하는 사이에 전개된 고구 려의 공세 강화라는 상황에서 한강 이북이 가지는 장소적 맥락에 주목하였다.
    이를 통해 새롭게 밝혀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장춘과 파랑은 신라와 백제의 접경지역인 아산-온양 방면에서 활동한 이들이며, 7세기 중반 백제와 고구려의 당항성 공격으로 신라가 처한 위기 상황에서 활약하였다. 장춘과 파랑이 한산주 의 접경지대에서 백제, 고구려의 공세를 막아내다 전사한 시대적 배경은 660년을 전후한 신라의 대외상황과 유사했다. 이것은 백제 부흥군의 반격과 고구려의 한 강 이북 공세에서 장춘과 파랑을 다시금 소환하였던 배경으로 작용했다. 무열왕 은 고구려에 대한 방어가 취약했던 한강 이북 방면에 장의사를 창건하여 국가 수 호와 위기 극복에 대한 의지를 강조하는 한편, 사찰의 군사적 기능을 활용하고자 했다. 이것은 신라가 백제와 고구려를 병합하는 戰時에 장의사가 중요한 상징적 기능을 수행하였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영어초록

    Founded during the reign of King Muyeol of Silla, Janguisa Temple was built for the Jangchun and Parang. In addition to the purpose of the temple, the timing of its construction is noteworthy, as it was built during a time of war around 660. Furthermore, the choice of a somewhat distant location in the north areas of the Han River, rather than a location close to Baekje as mentioned in the story of the temple’s founding. In this article examine the purpose of the founding of the temple and the location of the site with a focus on the external crisis faced by Silla at the time. In particular focus on the con- text of the north areas of the Han River, noting the Goguryeo’s offensive during Silla’s annexation of Baekje.
    Through this concluded that Jangchun and Parang were active in the Asan-Onyang area and played a role in the crisis situation faced by Silla due to the defiant attacks of Baekje and Goguryeo. The situation in which Jangchun and Parang were killed while fending off Baekje and Goguryeo attacks in the borderlands of Silla’s Hansanju Province was similar to the situation in Silla around 660. This served as the backdrop for the recall of Jangchun and Parang during Goguryeo’s offensive the north areas of the Han River during Silla’s annexation of Baekje. By locating the temple in the northwestern part of the Han River, where Goguryeo’s defenses were weak, King Muyeol sought to emphasize his commitment to national defense and overcoming external crises, while also utilizing the temple’s military capabilities. This suggests that the temple played a symbolic function in addition to its important role during the war to unite Baekje and Gogurye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