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60~70년대 문우식 관광포스터의 특징과 배경 (The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Moon Woosik’s Tourism Posters in the 1960s and the 1970s)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3.08
15P 미리보기
1960~70년대 문우식 관광포스터의 특징과 배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디자인학연구 / 36권 / 3호 / 403 ~ 417페이지
    · 저자명 : 강현주

    초록

    연구배경 문우식(1932~2010)은 미술을 전공하고 1950, 60년대에 화가로 활동하다 1960년대 중반에 디자인활동을 시작해 1966년부터 1979년까지 홍익대학교 도안과 교수를 역임했다. 미술가이자 디자이너로서 이중정체성을 가진 그는 디자인 분야가 제도적 틀을 갖추고 전문화되면서 잊혔다가 최근 국립현대미술관에서 개최된≪모던 데자인: 생활, 산업, 외교하는 미술로≫ 전(2022.11.23.~2023.03.26.)을 통해 재조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관광포스터를 중심으로 그동안 거의 알려지지 않았던 문우식의 생애와 디자인 활동을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문우식의 차녀 문소연과 인터뷰하고 가족 소장품을 살펴보았다. 또한 홍대 재직 시절 제자인 백금남과의 인터뷰도 진행했다. 문우식의 유작전인 ≪문우식: 그리움의 기억≫ 전과 ≪모던 데자인: 생활, 산업, 외교하는 미술로≫ 전, 그리고 산미협회 회원전의 전시 도록들을 참고하였고 신문 및 잡지 기사와 영상물 등을 조사했다. 본 연구에서 중점으로 다룬 시기는 문우식이 산미협회 회원전에 처음 포스터를 출품했던 1964년부터 홍대교수직을 사임한 1979년까지 약 15년간이다.
    연구결과 미술가로 주목받던 문우식이 디자이너이자 디자인 교육자로 변모한 데에는 1960년대 중반의 사회분위기와 디자인계 상황이 영향을 미쳤다. 그의 작업 중 관광포스터가 많은 것은 당시 관광산업 진흥이 주요한국가 정책이었기 때문이었다. 문우식은 수채화 물감을 사용해 포스터를 그렸고 자연환경과 함께 자신의 취미 활동 및 현대적 라이프스타일과 관련된 소재를 자주 등장시켰다. 소묘력과 표현력이 바탕이 된 그의 포스터는 조형성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얻었다. 하지만 그래픽 디자인 분야가 발전하면서 이미지 표현보다 메시지 전달이 중심이 되고 사진, 실크스크린, 인쇄 등 새로운 매체 활용이 중요해지면서 그의 작업은 점차 잊혀 갔다.
    결론 그래픽 디자인이 응용미술에서 현대 디자인으로 발전하던 전환기에 활동한 문우식은 일제강점기에디자인을 공부한 초창기 원로 세대와 1970년대 이후 새롭게 주류로 부상한 젊은 디자이너 세대 사이에서 중간적위치에 있었다. 이에 문우식에 대한 연구는 20세기 중반의 미술과 디자인의 관계 변화를 파악하고 한국디자인사를 보다 연속성 있고 포괄적인 맥락에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영어초록

    Background Moon Woosik (1932-2010) majored in fine art and worked as a painter in the 1950s and 1960s before starting design activities in the mid-1960s. He was also a design educator teaching graphic design at Hongik University from 1966 to 1979. As the field of design became institutionalized and specialized, Moon Woosik, who had a dual identity as an artist and designer, was forgotten. Then, his work was recently introduced through ‘Modern Design: The Art of Life, Industry and Diplomacy’ exhibition (2022.11.23.~2023.03.26.) held at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This study aims to examine Moon Woosik's life and design activities that have not been well known, focusing on his tourism posters.
    Methods Moon Soyon, the second daughter of Moon Woosik, was interviewed and the family collection was reviewed. Also, an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Baik Kumnam, who was a student of Moon Woosik when he worked at Hongik University. Catalogs of Exhibitions such as ‘Moon Woosik: Memories of Longing’, ‘Modern Design: The Art of Life, Industry and Diplomacy’ and ‘The Korean Industrial Artist Association Member Exhibitions’ were referenced. In addition, various newspaper and magazine articles and videos related to Moon Woosik were investigated. The period focused on in this study is about 15 years from 1964, when Moon Woosik first exhibited his poster at The Korean Industrial Artist Association Member Exhibition, to 1979, when he left Hongik University.
    Results The social and cultural atmosphere of the mid-1960s and the situation in the field of design influenced Moon Woosik, who was a painter, to become a designer and design educator. At the time, tourism was a popular theme among designers as the government implemented a policy to promote the tourism industry. Moon Woosik used watercolor paints for posters, and he enjoyed using objects related to hobbies and leisure activities that reflect the modern lifestyle against a natural landscape background. His posters were praised for their delicate drawing skills and expressive power. Then, as message communication became more important than image expression in graphic design, and new media such as photography, silk screen, and printing were used, his manual work was gradually forgotten.
    Conclusions At a time when graphic design was developing from applied art to modern design, Moon Woosik was in an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the older generation who studied desig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younger designer generation who emerged as the mainstream after the 1970s. A study on Moon Woosik will be helpful in examining the chan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design in the mid-20th century and understanding Korean design history in a more continuous and comprehensive contex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