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탈식민지화의 요구와 북한미술가들의 정체성형성 -1950년대 말 1960년대 초 혁명전통 성립과정을 중심으로- (De-Colonization and the Identity Formation of North Korean Artists -The Establishment of the Revolutionary Tradition between the late 1950s and the early 1960s-)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1.08
37P 미리보기
탈식민지화의 요구와 북한미술가들의 정체성형성 -1950년대 말 1960년대 초 혁명전통 성립과정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연구 / 33호 / 81 ~ 117페이지
    · 저자명 : 이영지

    초록

    1950년대 말 1960년대 초 북한미술계는 김일성의 1930년대 항일무장투쟁을 중심으로 조선독 립과 민족해방 그리고 조국통일로 이어지는 탈식민지적 역사의 패러다임을 구축하고, 김일성과 항 일무장투사들을 영웅적으로 형상화하여 당의 역사를 이룬 공산주의자의 전형으로 내세운다. 천리 마 운동이 펼쳐지던 1959년 생산품의 질적 제고 문제가 대두되자, 그 흐름에 맞춰 미술계에서도 기존의 혁명전통 주제화를 재평가하고, 그 사상-예술적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안을 마련한다. 이에 미술가들은 혁명전적지 조사사업에 참여하여 역사화와 기념비 제작을 위한 실증적 창작태도 를 취하며, 새로운 창작 기풍을 세우기 위한 제도적 장치로서 집체창작과 합평회 그리고 미술써클 활동을 본격적으로 조직화한다. 혁명전통의 수립과정은 미술가들에게 일제강점기에 주입된 “낡은 부르죠아 사상”과 반동적인 미술사조, 그리고 바람직하지 못한 창작태도를 고치고, 새로운 탈식민 지적 주체로 거듭날 것을 요구하는데, 이때 읽기와 형상화, 발화와 글쓰기가 새로운 정체성 형성에 큰 역할을 한다. 한편 재일조선인귀국사업의 여파로 북한의 탈식민지화 정책은 일본에까지 그 영 향을 미치게 되고, 북한의 혁명전통 교양사업이 냉전시대의 영향으로 초국적 성격을 띠며, 반자본 주의, 반제국주의, 그리고 강한 민족주의적 성격으로 변하게 된다.

    영어초록

    In the late 1950s and early 1960s, North Korea reconfigured a paradigm of post-colonial history that led to Korean independence, national liberation, and Korea’s reunification centering on Kim Il-Sung’s anti-Japanese armed struggle in the 1930s. The historical lineage of the revolutionary tradition positioned Kim and his heroic comrades, who originated the revolutionary tradition, as the epitome of communists amid the anti-Japanese guerrilla war. In 1959, when the Chollima Movement was unfolding, how to improve the quality of products became a pivotal issue in North Korea. North Korean artists reevaluated pre-existing revolutionary traditional art and attempted to improve its ideological-artistic quality in tandem with the party-led economic and political policy. The party organized a revolutionary battlefield investigation team to research revolutionary sites in Yanbian and Manchuria where Kim and his partisans fought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in the 1930s. The research team took an empirical approach to the historicization of the revolutionary tradition by collecting evidence and conducting interviews with former anti-Japanese partisans. Likewise, during their field research, artists Jung Kwanchul (1916-1983) and Moon Haksu (1916-1988) drew portraits of local revolutionaries and painted landscapes of historic sites. Sculptors including You Jinmyeong also joined this movement of historical research by visiting revolutionary battlefields in order to design and build monuments to commemorate revolutionary history in local areas. Meanwhile, the North Korean art world produced a new mode of art-cultural production that combined collective creation and evaluation. This systematic organization became the platform on which artists as a group studied the revolutionary tradition represented by Kim and his partisans and reshaped their own collective identity in relation to this tradition. North Korean artists were expected to abandon their bourgeois mindset, remove lingering styles of formalism, and reform themselves as decolonial subjects. With North Korea’s implementation of the Homecoming Movement for ethnic Koreans in Japan, the revolutionary tradition took on a more transnational, anti-capitalist, and anti-imperialist characteristic. North Korean artists and Zainichi artists together formed a transnational network underpinned by the anti-capitalist and anti- imperialist rhetorics of the Cold War. The returnees from Japan followed the decolonial movement of North Korea by performing as desirable communist subjects in everyday life as a means to cater to Kim Il-Sung and his par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