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강점기 초등<歷史敎科書>에 나온 ‘朝鮮王’ 과 ‘天皇’ 서술 비교 考察-1920년〜1930년대의 ‘보충’과 ‘정식’ 교과서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the Description of “King of Joseon” and “Tenno” in the History Textbook Used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Cases of “Supplementary” and “Official” Textbooks in the 1920s )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1.08
17P 미리보기
일제강점기 초등&lt;歷史敎科書&gt;에 나온 ‘朝鮮王’ 과 ‘天皇’ 서술 비교 考察-1920년〜1930년대의 ‘보충’과 ‘정식’ 교과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일어일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일어일문학 / 91호 / 261 ~ 277페이지
    · 저자명 : 장미경

    초록

    일제강점기 <역사교과서>는 크게 1920〜30년대의 인물 중심과 1940년대의 주제 중심으로 구분을 한다. <제2차 조선교육령> 개정으로 급한대로 ‘보충’역사교과서가 출간되었다. ‘보충’역사교과서는 아쉬운 대로 발간한 조선 위주의 역사서이기에 조선왕이 가장 많이 등장하였다. 목차명으로는 박혁거세, 왕건, 이성계, 영조, 정조를 포함하여 12명이다. 이후 1923년의 정식교과서인 『보통학교국사 아동용』에서는 6명의 왕이 동시기 일본 정치가 목차에 한 부분으로 나와 있다. 1930년대에서는 다시 단독으로 조선왕이 나오지만 4명에 불과하였다.
    긍정적인 왕으로는 조선의 영조와 정조, 고려의 성종을, 부정적인 왕으로는 궁예, 조선의 인조, 광해군, 연산군을 설명하였다.
    ‘보충’역사교과서에서는 메이지천황이 언급되었으며 ‘정식’역사교과서에서는 천황이 본격적으로 나왔으며 1920년대나 1930년 교과서에서 천황이 목차로 나온 경우는 모두 17단원이나 되었다. 무사들이 중심을 이룬 중세기에도 천황의 언급은 계속 이어졌는데, 메이지유신 이후 더욱 천황중심주의가 주입이 되었다. 메이지 천황 위주로 <역사교과서>가 서술된 것은 조선과의 합병을 합리화하려는 의도가 많이 압축되어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천황의 이름을 중심으로 일본역사를 쓰고 그것을 조선아동에게 가르치는 것이 조선총독부 발간 <역사교과서>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History Textbook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s largely divided into two categories: those in the 1920s and 30s focused on historical figures, while those used in the 1940s centered on topics. With the revised <Second Joseon Education Ordinance>, ‘supplementary’ history textbooks were allowed to be published, albeit in a haphazard manner. They focused mainly on the Joseon Dynasty and thus featured more kings than other textbooks. The table of contents lists up 12 monarchs including Park Hyukgeose, Wang Geon, Lee Seong-gye, Yeongjo, and Jeongjo. The official textbooks published later in the 1920s, however, presented six Korean kings in one chapter that addresses the same period in Japanese history. In the 1930s, the kings of Joseon were presented separately again, but only four monarchs were mentioned.
    While ‘supplementary’ history textbooks simply mentioned Emperor Meiji, 'official' history textbooks featured the emperor. The textbooks in the 1920s and 1930s had 17 chapters with the titles containing the word "Tenno(Emperor)" in the table of contents. Even the chapters on the Middle Ages, when samurais took power, frequently mentioned the emperors, and this tendency intensifies with the following chapters dealing with the periods after the Meiji Restoration. This emperor-centered description suggests the authors and the colonial rulers wanted to justify the annexation and colonization. That is, the aim of the history textbooks is to place the emperor at the center of Japanese history and inject the narrative into the minds of Korean stud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어일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