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의 대(對)중국 인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KBS 다큐 공감 <살아온 100년, 살아갈 100년-청년, 청년을 만나다>를 중심으로 (A Critical Examination of South Korea’s Perception of China: Analyzing the KBS Documentary on the Korea-China Friendship Caravan Project)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4.12
36P 미리보기
한국의 대(對)중국 인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KBS 다큐 공감 &lt;살아온 100년, 살아갈 100년-청년, 청년을 만나다&gt;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미디어융합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미디어융합연구 / 37호 / 75 ~ 110페이지
    · 저자명 : 이은별

    초록

    본 연구는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기념하여 외교부가 시행한 ‘한중우호 카라반’ 프로젝트와 이를 다큐멘터리로 제작·방영한 KBS 다큐 공감 <살아온 100년, 살아갈 100년-청년, 청년을 만나다>를 중심으로 한국 사회의 대(對)중국 인식을 비판적으로 살펴본다. 이를 위해 전통적 외교정책 수행자인 정부와 비국가행위 자인 청년들이 관여한 카라반 프로젝트를 영상화한 방송 프로그램을 심층 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 다큐는 역사적 장소인 임시정부 청사를 방문하는 여정을 관 찰자 시점에서 객관적으로 기술하는 동시에 프로젝트에 관여하는 이들의 중국 에 대한 우호적인 감상평을 더하였다. 이는 재연, 내레이션, 사료에 의존하는 기 존 역사 다큐와 달리 참여형 공공외교 현장에서 일반 참가자의 시선으로 역사적 사실을 재확인하는 증언 기법을 활용한 것이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일본을 한중 간 공공의 적으로 설정하여 반일 감정을 반중 정서 완화에 활용하는 한계를 드 러냈다. 또한, 대중국 인식 제고를 위해 양국 간 역사적 유대를 강조하는 데 그쳐 청년 주도의 참여형·협력형 공공외교 모델을 수행하려던 본래의 취지는 희석되 었다. 결국 다큐를 통해 재현된 한국의 대중국 인식은 청년 세대를 동원하여 중 국에 대한 집합 기억을 기록화하는 정치적 과정에 매몰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South Korean societal perceptions of China through an analysis of the “Korea-China Friendship Caravan” project implemented by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KBS documentary “100 Years of Living, 100 Years to Live – Youth Meets Youth.”, which portrays the caravan project involving both governmental and non-state actors, specifically youth participan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ocumentary adopts an observational approach to depict the journey to the historical site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building, while conveying favorable impressions of China shared by participants. Unlike traditional historical documentaries that often employ reenactments, narration, and archival materials, this documentary utilizes testimonial techniques to validate historical events through the perspectives of ordinary individuals, thus contributing to a participatory model of public diplomacy. However, this approach reveals certain limitations; specifically, it attempts to mitigate anti-Chinese sentiment by invoking anti-Japanese sentiment and casting Japan as a common adversary for the three countries. This tactic ultimately shifts the documentary’s focus away from its intended youth-led, participatory public diplomacy model, instead underscoring historical tie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to heighten public awareness. Consequently, the documentary’s portrayal of South Korea’s perception of China becomes intertwined with political efforts to engage youth in documenting of a collective memory of Chin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