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85년 남북적십자회담과 이산가족 상봉 (Inter-Korean Red Cross Talks and Separated Family Reunions in 1985)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3.12
42P 미리보기
1985년 남북적십자회담과 이산가족 상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족운동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117호 / 259 ~ 300페이지
    · 저자명 : 강혜경

    초록

    대한적십자사는 이산가족의 상봉을 위해 1972년부터 남북적십자회담을 전개하였다. 7차에 걸쳐 진행된 남북적십자회담은 1973년 북한측의 일방적 통고로 중단되면서 아무런 성과도 내지 못하였다. 1974년 7월부터 적십자회담의 재개를 위해 남북적십자의 실무회담을 시작했으나 이마저도 1978년 3월 19일 북한 적십자회중앙회 측의 일방적 무기 연기 통고에 따라 중단되었다. 1980년 중반 남북한은 ‘제2의 대화 시대’라고 지칭할 수 있을 정도로 대화와 교류가 진전되었다. 1985년은 남북간에 대화와 교류가 가장 활발했던 해로 5번의 경제회담, 국회 회담을 위한 예비접촉 두 차례, 1번의 체육 회담(로잔), 3번의 적십자회담이 열렸다. 1984년 북한 적십자회중앙회측의 수해물자 제공의사를 대한적십자사가 수용한 것을 계기로 남북적십자회담도 다시 재개되었다. 1985년 제8차, 9차, 10차 남북적십자 본회담이 열렸는데, 특히 8차 남북적십자 본회담에서 남북 이산가족 상봉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졌다. 남북적십자회담의 결과 1985년 9월 분단 40년만에 최초로 남북 이산가족 고향방문단 및 예술공연단을 상호교환하는성과를 이루었다. 1985년 남북고향방문단의 교환을 통해 가족이나 연고자를 만난 이산 가족은 평양에서 상봉한 남한측 가족 35명, 서울에서 상봉한 북한측 가족30명 등 모두 65명이라는 제한된 규모, 제한된 지역의 방문이었다. 3박 4일의 남북이산가족 상봉과 공연예술단의 교환이었지만, 분단의 아픔이 얼마나 크고 깊었던가를 재확인해주는 역사적 계기를 마련해주었다. 남한과 북한은 서로를 대화의 상대로 인정하고 이산가족 상봉이라는 성과를 보여주기도 했으나, 여전히 체제 대립 속에서 진전된 단계로 나아가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남한과 북한이 서로를 알게 되는 시발점이 되었다는 것이 남북이산가족고향방문단과 공연예술단 교환의 성과이며 남북한의 교류를 통해 이질화를 해소하는 것은 이후 과제가 되었다.

    영어초록

    The Korean Red Cross has been holding inter-Korean Red Cross talks since 1972 to reunite separated families. Seven rounds of inter-Korean Red Cross talks were halted due to North Korea's unilateral notification in 1973 and did not produce any results. Working-level talks between the South and North Korean Red Cross began in July 1974 to resume the Red Cross talks, but even these were suspended following a unilateral notice of postponement by the North Korean National Red Cross Association on March 19, 1978.
    By the mid-1980s, dialogue and exchang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had progressed to the point where it could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era of dialogue.’ 1985 was the year when dialogue and exchang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were most active, with five economic talks, two preliminary contacts for the National Assembly meeting, one sports meeting (Lausanne), and three Red Cross talks. Inter-Korean Red Cross talks were also resumed when the Korean Red Cross accepted the North Korean Red Cross Central Committee's intention to provide flood damage supplies in 1984. The 8th, 9th, and 10th inter-Korean Red Cross main talks were held in 1985, and in particular, at the 8th inter-Korean Red Cross main talks, an agreement was reached on the reunion of separated families. As a result of the inter-Korean Red Cross talks, for the first time in 40 years of division, the south and North Korean separated families' hometown visitation groups and art performance groups were exchanged in September 1985.
    In 1985, the separated families who met their families or relatives through the exchange of South and North Korean hometown visiting groups were limited in size and limited to a limited area, with a total of 65 people, including 35 South Korean family members who were reunited in Pyongyang and 30 North Korean family members who were reunited in Seoul. Although it was a three-night, four-day reunion of separated South and North Korean families and an exchange of performing arts groups, it provided a historical opportunity that reaffirmed how great and deep the pain of division was. Although South Korea and North Korea recognized each other as partners for dialogue and showed success in reuniting separated families, there were still limits to advanced stage in the midst of system conflict. The achievement of the exchange of the South and North Korean separated families' hometown visitation group and performing arts groups was that it became the starting point for South and North Korea to get to know each other, and the subsequent task was to resolve the differences through exchang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