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50년대 영화의 반공 서사와 여성 표상 (Anti-Communism & Gender appeared in 1950s Korean film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09.06
35P 미리보기
1950년대 영화의 반공 서사와 여성 표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여성문학연구 / 21권 / 21호 / 125 ~ 159페이지
    · 저자명 : 박유희

    초록

    이 글은 1950년대 한국영화의 반공 서사에 나타난 여성 인물을 살펴, 1950
    년대의 반공주의 영화 서사, 그리고 여성 표상의 상관성을 고찰하고, 이를 통
    해 국가 이념과, 서사체로서의 영화의 자율성이 만나는 가운데 일어나는 긴장
    과 균열, 그리고 그것의 의미를 구명하고자 한다. 대상 텍스트는 국책 선전영
    화로 제작되어 반공주의가 충실하게 반영되어 있는 <불사조의 언덕>(1954),
    <자유전선>(1955), <격퇴>(1956)과 액션물, 스릴러 등 장르 문법 속에서 남
    북한 대치상황을 배경으로 함으로써 당시의 국시인 ‘반공주의’로부터 자유로
    울 수 없었던 영화들인 <운명의 손>(1954)과 <피아골>(1955)이다.
    <불사조의 언덕>, <격퇴>에서의 ‘반공 논리’는 ‘가부장적 가족’, ‘민족’,
    ‘기독교’, ‘미국과의 동맹’이 친연적 결합관계를 형성하며 도덕성을 담보하고,
    그 도덕성을 전제로 한 흑백논리의 성격을 띤다. 이는 서사에서는 가족을 파
    괴하는 공산군에 대적하여 기독교 가족이 저항하는 구도를 형성한다. 여기에
    가족을 구하는 것은 미군과 국방군이다. 이때 여성은 크게 두 가지 역할을 담
    당한다. 첫째는 어머니나 아내로서 집안의 남성들이 잘 싸우도록 보살피고 헌
    신하면서 승공에 기여하는 것이고, 둘째는 헌신하다 희생됨으로써 공산주의
    의 부도덕성을 폭로하고 공분을 유발하는 매개가 되는 것이다. 두 경우 모두
    여성은 서사에서 희생과 헌신의 화신으로, 무력한 피해자의 표상으로 활용된
    다. 그런데 <자유전선>에서는 ‘어머니’로 표상되는 구세대에게는 그러한 역
    할을 지우는 한편, 능동적이고 사회 참여적인 신세대 여성인물을 통해서는 반
    공의 명분을 논리적으로 표방케 함으로써 시대의 새로운 요구를 드러낸다. 이
    는 가족질서의 재편과 사회의 변화에 따라 여성에 대한 반공주의의 요구도
    확장되었음을 짐작케 한다.
    반공 이념을 충실히 서사화하는 국책 영화들과 달리, 반공 이념의 고취가
    주목적이 아닌 <피아골>과 <운명의 손>에서는 반공의 도식과 영화 장르 문
    법, 그리고 서사의 자율성이 타협과 균열을 일으킨다. <피아골>의 주인공 애
    란은 ‘눈물’로 상징되는 ‘여성성’을 되찾으면서 ‘산짐승’에서 ‘인간’으로 전향한
    다. 그런데 애란이 인간으로 거듭나는 계기로서 작용하는 ‘여성성’이 균열을
    드러냄으로써 그것은 반공주의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거점으로서의 취약함
    을 드러내며, 회복되어야 할 ‘인간성’의 핵심으로서의 의미를 상실하게 된다.
    이로써 애란이 획득하는 ‘여성성’은 도식적인 흑백논리로는 수용할 수 없는
    ‘모호한’ 영역을 형성한다.
    이러한 모호성은 <운명의 손>에서도 드러난다. <피아골>에서 공산주의
    자 집단 내부에 프로타고니스트와 안타고니스트를 설정할 때 반공주의로는
    포획할 수 없는 서사 전개로 인해 이분법 구도에 균열이 생길 수밖에 없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사랑 안에서의 이념 대립도 이념에 기반하는 선악구도의 긴
    장을 유지하기 힘들게 되면서 균열을 드러낸다. 이로 인해 결국 마가렛은 끝
    까지 이념을 포기한다고는 말하지 않은 채 ‘적’이 분명치 않은 ‘적탄’에 죽고
    싶지 않다는 모호한 명분을 내세우며 연인의 손에 죽어간다. 이러한 죽음의
    선택은 <피아골>에서의 애란의 방황과 동일한 영역을 형성한다.
    이러한 ‘모호성’은 1990년대 이전까지의 영화를 통틀어 반공 서사의 한계
    점을 보여준다. 1950년대에 그 한계점이 그어졌다는 것은 1950년대의 특이성
    이자 가능성을 보여주는 동시에, 아울러 현대사의 질곡과 함께 그 안에서 여
    성의 행동 영역이 얼마나 한정되어 갔는지를 암시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woman gender representation appeared in
    Anti-Communism narratives of 1950s Korean films. This paper is special
    reference with <The Hill of Immortal Bird>(1954), <The Battle line of
    Freedom>(1955), <Beat back>(1956) as national policy films and <The Hand
    of Destiny>(1954), <Piagol>(1955) as genre movies.
    The national pocley films such like <The Hill of Immortal Bird>(1954),
    <The Battle line of Freedom>(1955), <Beat back>(1956) show distinguished
    division between the US-South Korea Army and the China-North Korea
    Army. That represents the good, but this represents the bad. The good is
    constituted by Christianity, Civilization, Motherhood, Purity. But the bad is
    composed of Savageness and Immorality. The women characters function as
    the intermediation to make Anti-Communism reasonable.
    On the other hand, the genre movies such like <The Hand of
    Destiny>(1954) and <Piagol>(1955). The films show the crack which occur
    in the discord between the pressure of division originated from
    Anti-Communism and self-regulation of Narrative in 1950s. It represents the
    ambiguity of 1950s and means the potentiality and particularity of 1950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