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20년대 프로희곡과 ‘감정’의 수행성 (The Proletarian Drama in the 1920's and the Performativity of Emotion)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09.10
32P 미리보기
1920년대 프로희곡과 ‘감정’의 수행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극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극예술연구 / 30호 / 85 ~ 116페이지
    · 저자명 : 이민영

    초록

    이제까지 프로희곡․프로연극에 대한 논의들은 카프의 이념적인 실천을 그 중심에 놓고 논의되어 왔다. 이러한 연구 경향은 신경향파에서 카프의 프로문학으로 발전해나갔다는 진화론적 해석에서는 설득력을 확보할 수 있으나, 반면 많은 작가와 작품들을 논의의 영역에서 배제시켜왔다. 이 글에서는 1920년대 프로희곡에 대한 카프 중심주의적 해석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감정(Emotion)’에 주목한다. 감정은 개인과 사회를 역동적인 방식으로 연결하는 기제이며, 권력적 담론에 대한 균열과 새로운 담론을 창출해내는 ‘수행성(Performativity)’을 띤 적극적인 해석의 키워드이다.
    1920년대 프로희곡에서는 그 시대를 살아가던 사람들의 다양한 감정의 층위들, 공포, 분노, 민족 감정 등을 읽을 수 있다. 하층계급이 느끼는 ‘공포(fear)’는 대중이 체제로부터 느끼는 공포이자 동시에 그 체제에 대한 저항을 수행하는 양가성을 띤다. 이러한 ‘공포의 양가성’은 식민지 체제에 균열을 일으키는 역동적인 힘으로 수행될 수 있다. 식민지 지식계급이 드러내는 ‘분노(anger)’는 현실과 거리를 두는 관조적 태도에서 나온 ‘포장된 분노’이다. 이 분노는 사회주의적 현실 변혁이라는 공리성을 기반으로 사적인 영역을 공적이며 사회적인 영역으로 확장시켜 사회주의를 담론화하는 ‘공론 장’의 형성에 기여한다. 그리고 1927년 중반 이후에 와서 프로희곡은 동일한 경험을 통해 ‘민족 감정(ethnic emotion)’을 자극하는 방식을 ‘아지-프로’의 전략으로 이용한다.
    이러한 감정의 층위를 통해 우리는 당대 작가들이 식민지 현실을 어떻게 드러내고 어떠한 방식으로 맞서고자 했는가를 발견할 수 있다. 현실에 대한 실천적이고 적극적인 대응의 의지가 프로희곡의 힘이자 예술의 임무라면, 이 시기 프로희곡은 그 시대의 삶에 대한 고민과 적극적 실천의 의지를 담아내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갖는다. 그리고 이러한 감정의 수행성이 다양한 방식으로 1930년대 프로희곡, 일제 말기 친일극에서 감지되고 있음은 자못 흥미롭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ssue of ‘emotion’ and the proletarian drama in the 1920's in Korea. Until now, the achievements of preceding studies on the proletarian drama are precious from the Realism point of view but there are several matters. Most of all problems, the proletarian drama had interpreted by an angle of the KAPF and its criticism. Those tendencies of studying have made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about the proletarian literature that have thought an advanced stages of the theory of evolution. Through issue of ‘emotion’, we can get the new angle for understanding about literature under a chaotic age in the history of Korean.
    The emotion is new keyword of interpretation that has performative nature to make the crack about powerful discourse and to create new discourse because of the emotion which can show the dynamic relations between individuals and a society. These ‘performativity’ can make new changed discourse which is practical to encounter the realities of life.
    The proletarian drama shows to us about colony life. The works represented various voices and feeling of colonial people those are fear, anger, ethnic emotion and so on, to represent colonial. The ‘fear’ is emotion that lower class have it. it has ambivalence that people feel fear from colonial system and the feeling send back to the system. So, it can have power of resistance. The ‘anger’ is emotion that elite or intelligentsia have it. it wrapped beautifully. It arose from contemplate attitude that is far real life. Nevertheless, It could make ‘Public Sphere’ called the socialistic republic in reality, by stand on colonial people's public welfare. Moreover, those dramas used to the ‘ethnicity’ as strategy for agitation propaganda. It most important concept because, it use same experience of people and then some future that people want to be. These style that uses the 'ethnicity' or 'ethnic emotion', that can also discover in the pro-drama after 1930.
    On conclusion, those the tendency of emotion can explain about it used for Enlighten the audience. Furthermore, those various layer of emotion represent wretched colonial life, show necessary action up against to Empire. To oppose about japanese coercion, it is duty of art and as proletarian works at the tim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극예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