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30~1940년대 성북동의 지식인 네트워크 (The Intellectual Network of Seongbuk-dong in the 1930s and 1940s)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4.12
45P 미리보기
1930~1940년대 성북동의 지식인 네트워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구보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보학보 / 38호 / 11 ~ 55페이지
    · 저자명 : 조윤정

    초록

    이 논문은 1930~40년대 성북동을 중심으로 형성된 지식인 네트워크의 특징과 그 문화적 의미를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둔다. 지금까지 성북동과 관련한 문학 연구는 이태준, 김용준 등 소수의 인물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그간 주목받지 못했던 작가들을 포함하여 성북동 지식인들의 활동과 교류 양상을 폭넓게 조명함으로써 이 지역이 다양한 예술적・지적 실천이 이루어진 공간이었음을 밝히고자 했다. 우선, 1936년 경성의 확장과 더 불어 각광받기 시작한 성북동의 변화를 살피고 성북동이 ‘문인촌’으로 인식되었던 정황을 살폈다. 그리고 당시 문학잡지와 신문, 작가들의 수필을 참고하여 성북동 지식인들의 주소지를 정리하고 『지번구획입 대경성정도(地番區劃入 大京城精圖)』에 표시한 후 그들의 지역 활동을 분석했다. 이로써 지식인의 사회적 책임과 실천적 태도가 성북동의 문명화 도모와 전원으로서의 지역성 보존이라는 딜레마 사이에 놓여 있었음을 환기했다.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시각화 프로그램 Gephi를 활용하여 그들의 예술적・지적 교류의 구체상을 창작 및 집필 활동과 관련하여 드러내고자 했다. 그 과정에서 노자영의 『신인문학』 발간의 의미, 이병도를 중심으로 한 진단학회의 학문적 성과가 잡지 『문장』의 편집 방향이나 내용에 미쳤을 영향에 대해 언급했다. 또한, 음악가 채동선과 극작가 현철 등이 보여준 예술적 시도를 제시하여 성북동 문화 지형의 다채로운 면모를 보여주었다. 성북동이라는 특정 공간을 중심으로 형성된 지식인 네트워크의 복합적 양상은 식민지 시기 조선 지식인들의 거주 환경과 사회 활동, 그들의 창작과 예술적 실천 사이의 관계를 드러낸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the network of intellectuals that formed around Seongbuk-dong in the 1930s and 40s. Until now, literary studies related to Seongbuk-dong have focused primarily on a small number of figures, such as Lee Tae-jun and Kim Yong-jun. This study, however, seeks to shed light on the activities and interactions of intellectuals in Seongbuk-dong, including writers who have received less attention, to reveal that this region served as a center for various artistic and intellectual activities. First, this study examines how Seongbuk-dong came into prominence with the expansion of Gyeongseong in 1936, exploring the conditions that led to its perception as a ‘literary village’. Next, I compiled the addresses of intellectuals in Seongbuk-dong and mapped them onto the Precise Map of Gyeongseong with Street Numbers and Districts(『地番區劃入 大京城精圖』), referring to literary magazines, newspapers, and essays written by contemporary writers, and analysed their local activities. This analysis reveals that the social responsibility and practical attitudes of intellectuals reflected a dilemma: whether to promote the civilization of Seongbuk-dong or to preserve its rural character.
    Using the network visualization program Gephi, this study further aims to elucidate the specifics of their artistic and intellectual exchanges through their creative and writing activities. In this process, it explores the significance of Noh Ja-young’s Sinin Munhak (『新人文學』) and the influence that the academic contributions of the Chin-tan Society (震檀學會), led by Lee Byung-do, may have had on the editorial direction and content of the magazine Munjang (『文章』). The paper also presents the artistic endeavors of musician Chae Dong-sun and playwright Hyun Cheol, among others, to illustrate the diverse cultural landscape of Seongbuk-dong. The complexity of the intellectual network formed around the specific locale of Seongbuk-dong is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ving conditions and social activities of Joseon intellectuals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their creative and artistic practi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보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