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학작품에 나타난 외부적 장소성 분석 - 1970년대~2000년대 서울시 구로구 가리봉동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Sense of Place as an Externality in the Literature Works - Focused on Garibong-dong From 1970s to 2000s -)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9.02
31P 미리보기
문학작품에 나타난 외부적 장소성 분석 - 1970년대~2000년대 서울시 구로구 가리봉동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서울학연구 / 74호 / 81 ~ 111페이지
    · 저자명 : 한성미

    초록

    가리봉동은 산업화시대인 1960~70년대부터 세계화를 맞이한 2000년대 현재까지 우리사회의 소수자들의 장소를 형성해 오고 있다. 본 연구는 장소의 본질은‘외부’와 구별되는 ‘내부’의 경험 속에 있으며, 깊고 완전한 동일시를 경험한다는내부성과는 대립되는 의미로서의 외부성에 대해 주목하고, 서울시 구로구 가리봉동을 배경으로 한, 세 개의 소설을 통해 서울의 특정 장소에 대한 외부성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장소의 외부성은 내부성과 마찬가지로 몇 가지의 세부적 개념으로 구분되나, 장소의 본질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는 실존적 내부성과 달리, 공통적으로 자아 혹은 주체와 장소가 긍정적으로 긴밀히 연결되어있거나 소속감을 느끼고 그 장소에서 자신이 받아들여짐을 경험하는 것과는 거리가 있다. 가리봉동의 경우, 산업화시대인 1960년대에서 1980년대까지는 서울로 상경한 공장 근로자의 거주지로, 이후 1990년대부터는 주로 중국동포 근로자들의 집단 주거지역으로 변화해 왔다. 이 두 집단은 공통적으로 우리 사회의 소수자 집단으로서, 가리봉동 벌집촌이라는 공간적 구조에서 그들의 세계를 재현하였다. 즉, 경계인으로서 임시적으로 머무는 장소, 초국가적 제3의 공간, 소외와 배제 등으로 함축될 수 있는 외부적 장소성을 형성하여 왔다는 것을 세 권의소설을 통해서 파악되었다. 외국인 근로자의 유입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고 서울 어딘가에는 다시 그들만의 장소들이 형성될 것이다. 이에 대한 우리사회의 흐름 속에서, 차이를 억누르지도 않고 ‘타자’(지배적 규범과 다른 모든 것들)를 억압하지도 않으면서 ‘동화되지 않은 타자성 (unassimilated otherness)’에 개방적인 사회적 인식이 확산되어야 할 일이다.

    영어초록

    The study noted the location of Garibong-dong, Guro-gu, which is part of the numerous sites that make up the city of Seoul, which still frequently appears as a place for the urban minority and as a background for crime films despite the recent upheaval of globalization from the past industrialization. Garibong-dong is distinguish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from Bucheon, Ansan, Gyeonggi-do, and Seollee Village, Itaewon, and Little Tokyo in Dongbu-Ichon-dong that are representative multicultural spaces. It dates back to the place of labor-class and minority workers in our society, including industrial workers, before Korean-Chinese’ moving, who are a major member of Garibong-dong. In other words, it is worth identifying the meaning as a place in Seoul by examining the process of creating and changing the site in the late 1980s, when most factories moved to a local city outside Seoul and changed into a space occupied by other minority groups of Korean- Chinese and foreign workers.
    This study adopted the concept of Sense of Place in 1976 by E. Relph in his book Place and Placelessness. Namely, it is based on the definition that sense of place is formed when human activities, experiences, etc. are performed within a particular physical environment and added meaning to it. Therefore, sense of place can be a subjective ‘interpretation’ because human activity, experience and meaning itself are subject. Nevertheless, it is emphasized that the essence of a place is in the ‘inside’ experience that distinguishes it from the ‘outside’. These fragmented concepts of externality and internality form the framework for the interpretation of this study. Despite the limitations that the subject of the study is not representative of Seoul or the entire city, among the various places that make up Seoul, one can see the outer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formed by the conditions of the city’s social exclusion and otherness in minority group. It will also be an opportunity to reconsider the growing number of social issues such as foreign workers, wedding immigrant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Seoul as a pl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