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왕조 1600년경 편찬 족보의 계보형태와 특성 ―1606년 편찬 『晉陽河氏世譜(萬曆本)』의 분석을 중심으로 (The form and characteristic of pedigree in the 1600's genealogy of Joseon Dynasty ― focusing on the 『Chinyang Hassi Genealogy (Mallyŏ edition)』 made in 1606)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2.03
32P 미리보기
조선왕조 1600년경 편찬 족보의 계보형태와 특성 ―1606년 편찬 『晉陽河氏世譜(萬曆本)』의 분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동문화연구 / 77호 / 109 ~ 140페이지
    · 저자명 : 손병규

    초록

    조선왕조시대의 족보는 신분제의 유동성에서 기인하고 신분적 배타성에 의거하여동일계층의 사회집단을 결집하려는 의도로 편찬되었다. 그러나 한편으로 족보 편찬에는 네트워크의 개방성에 기인하여 편찬에 참가하는 가계가 끊임없이 확산되고 교체되는 변화를 겪는다. 말하자면 선별적이고 계층적인 집단화의 배타성과, 혼인과더불어 무한히 확대되는 네트워크의 개방성이라는 두 가지 서로 다른 원리로 족보가 편찬되었다. 조선시대 족보의 계보형태와 기재사항이 부계혈연집단의 결집을 강화하는 방향으로만 작용하지는 않았다는 것이다.
    1600년경에 편찬된 족보들은 그 전과 후에 편찬된 족보들의 계보형태와 그 특성이 갖는 연속성과 변화를 동시에 보여준다. 특히 『진양하씨세보(만력본)』에서 주목되는 것은 편자의 선조들 가운데 부계남성으로 시작하는 계보를 ‘子派’, 부계여성의배우자인 사위로부터 시작하는 계보를 ‘女派’라 구분하여 기록할 뿐 아니라, ‘外譜’라고 부르면서 부계남성의 배우자, 妻家의 계보를 수용했다는 점이다. 이전의 족보본적으로 이전의 ‘자녀보’ 형태를 유지하지만, ‘자파’ ‘여파’와 같은 여러 개의 네트워크를 설정하고 여기에 더해 편자의 직계선조의 처가쪽 혼인네트워크까지 끌어들여 각 네트워크를 혼인관계로 연결하고 있다는 것이다.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링크(link)’시키는 접점을 ‘노드(node)’라고 한다. 사위로부터 이어지는 ‘女派’의 계보나 처가의 계보인 ‘外譜’를 서로 잇는 연결점, 즉 족보에서 네트워크 사이를 링크하는 노드는 夫婦이다. 이전의 족보는 딸과 그의 남편이연결점의 역할을 했으며, 1600년경부터 그것에 더해 아들과 며느리가 연결점으로등장했다.
    족보편찬의 그러한 원리는 17세기 이후의 족보편찬에도 지속적으로 적용되었다.
    부계남성의 계보로 단일화되는 경향이 있는 17세기 이후의 일반적인 족보에는 각부계남성들의 배우자측, 즉 妻父의 기록이 네트워크의 연결점으로 기능했다.

    영어초록

    The genealogy of the Joseon Dynasty, which was derived from the mobility of a caste system, was compiled in order to unite the social group that had the same status according to status exclusionism. However, on the other hand, the compilation of the genealogy was also derived from the openness of their network, which caused lineage inclusion that continuously spread and replaced existing networks. In other words, the genealogy was compiled by two different principles, the selective and hierarchical collectivization's exclusion and the infinitely expanding network's openness through marriage. Therefore, the pedigree' form and the items recorded not only had the effect of reinforcing the paternal descent group.
    The genealogies which were compiled around 1600 show the continuity and change in the same time, compared to the genealogy before and after that. In particular, among the compilation of ancestors in the Chinyang Hassi Genealogy (Mallyŏ edition) ‘晉陽河氏世譜(萬曆本)’, the lineage started from paternal males was called Japa ‘子派’, the lineage started from the son-in-law of paternal females was called Yŏpa ‘女派’, and the spouse of the paternal males are called Oebo ‘外譜’. The genealogies before this which includes both son and daughter's lineage are called Janyŏbo ‘子女譜’. This genealogy fundamentally not only maintains the form of previous Janyŏbo ‘子女譜’, but also sets up several networks like Japa ‘子派’, Yŏpa ‘女派’, and even includes the marrige network of lineal ancestor's wife, and link these networks with marriage.
    The point that links the different networks is called a node. Like the node link the Yŏpa ‘女派’lineage which started from the son-in-law and the Oebo ‘外譜’lineage of the wife, the node link the network in the genealogy is the couple. In the previous geneology, daughter and her husband works as node, and from 1600 son and his wife became the node too.
    The link through marriage makes the social network's openness spread,even after the compilation of the genealogy, the lineages are included through Ch’urok ‘追錄’ or Pyŏlbo ‘別譜’. And the principle of genealogy is continuously applied after the 17th century. The genealogy which has an unification trend of paternal line after the 17th century, the record of paternal males' wife's side functions as a node of networ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