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695년 太宗 獻陵 神道碑의 再建 연구 (Study on the Reconstruction of the Memorial Stele in King Taejong’s Heolleung Royal Tomb in 1695)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8.12
29P 미리보기
1695년 太宗 獻陵 神道碑의 再建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중앙박물관
    · 수록지 정보 : 미술자료 / 94호 / 60 ~ 88페이지
    · 저자명 : 김규훈

    초록

    서울 대모산 남쪽에 자리잡은 헌릉은 조선 3대 국왕 太宗(재위 1400∼1418)과 그의 비 元敬王后 閔氏(1365∼1420)의 雙陵으로 조성되었다. 헌릉은 건원릉과 함께 유일하게 신도비각을 갖추고 있으며, 비각 안에는 15세기 세워졌던 舊碑와 17세기에 재건된 新碑가 나란히 서있다. 무엇보다도 『獻陵碑石重建廳儀軌』(이하 『헌릉비석의궤』)가 전하여 당시 상황 뿐 아니라 조선시대 비석이 어떤 과정으로 제작되었는지 짐작할 수 있게 해준다.
    헌릉 신도비의 중건이 중요한 까닭은 세조 이후 금지되었던 陵碑를 세운 것이다. 쉽게 결정될 문제는 아니었으나, 결국 훼손된 왕릉을 복구한다는 측면에서 일을 진행 시킬 수 있었다. 그 결과 조선 후기 들어 국가에서 직접 세운 최초의 사례가 되었다.
    『헌릉비석의궤』를 통해 재건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석재의 산지를 정하는 것으로 시작하였다. 여기서는 강화, 충주, 강음 세 곳이 언급되었다. 강화의 돌은 무채색에 가까운 화강암으로서, 견고하고 단단해 왕릉과 사대부의 묘소에서 석물로 쓰이던 것이었다. 그러나 舊碑의 예를 좇아 무른 계열[軟石]의 돌을 사용하고자 하였고, 충주와 강음 두 산지 중 최종적으로 강음이 선택되었다.이 같은 결정은 더 좋은 것을 선택하여 세우고자 한 데에서 비롯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중건에 동원된 장인들은 모두 이전부터 國役에 참여한 이들이었다. 다양한 방면에서 참여한 장인들 가운데 石手, 冶匠, 刻手 등이 비석과 직접 관련된 일을 맡았다. 기록 중 석수 중 일부는 龍頭匠으로 분류되었는데, 이는 螭首를 제작한 석수가 따로 있었음을 알려준다. 글씨를 새긴 각수들은 하루에 10여자도 새기기 어려웠다. 또 어두운 돌 색으로 인하여 밀가루를 뿌려 글씨를 확인하며 작업하였다. 이들 외에도 비각의 중건과 관련된 木手, 蓋匠과, 비문을 印出하여 진상용 족자를 만드는 일과 관련되어 簇子匠, 豆錫匠도 참여하였다. 이들 외에도 비석을 나르는 데에는 수천의 인원이 동원되었다. 이처럼 헌릉 신도비의 재건에는 수많은 인력과 예산이 필요하였다.
    약 200년의 시차를 두고 세워진 두 비석에서는 조선 초기와 후기의 비석 양식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舊碑는 중국 비석의 양식으로 세워졌으며, 귀부의 경우에는 고려 탑비와 같은 전통적인 표현이 적용되었다. 新碑에서는는 독창적인 양식이 전개되었는데, 이수의 경우 17세기 양식을 기본으로 하면서 당시에 나타나지 않던 舊碑의 표현을 부분적으로 따와 적용하였다. 그 결과 조선 후기 비석들을 통틀어 유일하게 확인되는 篆額과 독창적인 이수 양식을 확인할 수 있다. 귀부의 경우는 15세기 정립되었던 조선 귀부 양식을 바탕으로, 17세기에 제작되기 시작한 龍頭形으로 조성하였다. 이수와 귀부에 각각 다른 양식을 적용한 것은 당시 사람들의 선택에 따른 것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Located to the south of Daemosan Mountain in Seoul, Heolleung Royal Tomb comprises twin mounds constructed for King Taejong (太宗, r. 1400~1418), the third king of the Joseon Dynasty, and his wife Queen Consort Wongyeong (元敬王后, 1365~1420) of the Min family. Heolleung Royal Tomb and Geonwolleung Royal Tomb, the tomb of King Taejo(太祖, r. 1392~1408)’ and the founder of the Joseon Dynasty, are the only tombs featuring a shed (bigak) for the memorial stele. Inside the shed in Heolleung stand side by side a stele erected in the fifteenth century and another reconstructed in the seventeenth century. What is also noteworthy is that there remains the Royal Protocol Recording the Construction of Stone Monument in Heolleung Royal Tomb (獻陵碑石重建廳儀軌, Heolleung biseok junggeoncheong uigwe), compiled during the reign of King Sukjong, which provides various records related to the restoration of the Heolleung memorial stele.
    The Royal Protocol details the rebuilding process of the memorial stele in Heolleung, which begins with the quarrying of the stones, including from Ganghwa, Chungju, and Gang-eum. Stone from Ganghwa is a nearly achromatic granite. Due to their solidity and sturdiness, they were used to make stone structures for tombs of the Joseon royal family and scholar-officials. In the end, however, soft stone from Gang-eum was chosen according to the fifteenth-century stele tradition for erecting a high-quality memorial stele. The master artisans recruited to create the memorial stele had also been engaged in other national construction efforts. Among them were stonemasons, blacksmiths, and sculptors. The Royal Protocol categorized some stonemasons as the artisans for dragon heads, which indicates that there were stonemasons responsible for making the dragon-shaped capstone of the stele. Moreover, engraver engraved characters on the black stele and dusted it with flour to ensure that the characters stood out. Many other artisans participated in this rebuilding process. For example, there were carpenters and roof tilers to build the shed for steles; scroll makers and metalworkers printed the stele inscription and mounted it on a scroll as an offering to the king; and over a thousand soldiers were tasked with transporting the stele. The reconstruction of Heolleung memorial stele clearly required considerable human resources and a massive budget.
    The two memorial steles standing side by side respectively reflect the stele styles of the early and late Joseon periods. Overall, the fifteenth-century stele is in the manner of the Chineseinfluenced steles often erected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However, the tortoise-shaped bases reflect traditional Goryeo steles. The seventeenth-century stele is built in a rather distinctive and contrasting manner. For example, its dragon-shaped capstone largely follows the seventeenthcentury manner but partially applies styles from the fifteenth century that were no longer common by its day. Accordingly, among the surviving late Joseon steles, such an ornamental capstone engraved with an inscription in seal script can be seen only in the Heolleung memorial stele of 1695.
    Based on the tortoise-shaped base established in the fifteenth century, a dragon head in the style that began to be produced in the late seventeenth century was added. Influenced by this example, other tortoise-shaped bases for later steles were provided a dragon head. Furthermore, the rebuilding project for Heolleung memorial stele broke the taboo of erecting steles at Joseon royal tombs and justified the construction of stone markers at royal tombs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Thus, the reconstruction of the memorial stele in Heolleung in 1695 was a stylistically and politically significant ev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자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