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80-90년대 한국 생활미술운동 연구 (A Study on Korean Living Arts Movement in the 1980s and 1990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5.12
11P 미리보기
1980-90년대 한국 생활미술운동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1권 / 4호 / 369 ~ 379페이지
    · 저자명 : 안영주

    초록

    ‘생활미술운동’은 1980-90년대에 한국에서 전개되었던 민중미술운동의 한 흐름으로써 순수 예술이 아닌공예나 디자인의 영역에서 일어났던 생활화 운동이다.
    그러나 생활미술운동은 민중미술운동에 비해 지금까지 우리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채 간과되었던 분야라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생활미술운동을 공예와 디자인을 통해 사회의 변화를 이루고자 했던 활동으로 바라보고, 1980-90년대 한국 문화의 맥락 안에서 그 개념과 전개 과정, 특징 등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에서의 사회적 디자인 및 공예 운동의 작은 역사로 소개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연구의 범위를 1980-90년대라는 시간적 범위와 민중 미술이라는 범주 내에서 발생한 생활미술운동으로 제한하고자 한다. 또한, 생활미술운동에 대한 선행 연구가 미비한 관계로 <미술 세계>와 <미술공예>, <월간 디자인> 등에 소개된 내용을 1차 자료로 검토하고, 일간지에 소개된 생활미술운동에 대한내용을 조사하였다. 더불어 당시 생활미술 운동에 참여했던 김남수와 디자인 평론가 최범, ‘두렁’의 동인이었던 라원식을 인터뷰하고 녹취록을 정리하여 연구에반영하였다.
    본론에서는 먼저, 생활미술운동의 개념을 살펴보고, 생활미술운동을 세 시기로 구분하여 그 전개과정을 살펴보았다. 첫 번째 시기(1980년대 초⋅중반)는 민중미술의 전투적이고 선동적 기능을 가진 선전광고물들이제작되었으며, 이 시기의 작업들은 민중 미술에 등장하는 도상이나 상징들을 그대로 사용한 것들이다. 두번째 시기(1987-1990년대 초)의 생활미술운동은 1987 년 이후 정치적 상황이 일단락되고 운동권 중심의 수요가 감소함에 따라 보다 대중적 유통을 모색했던 시기였다. 생활미술운동 작가들은 ‘생활미술열린장터전’ 등을 기획하고 그것을 통해 대중과의 교감은 물론, 공예⋅디자인 작가들이 설 자리를 마련하였다. 세 번째시기(1990년대 중반 이후)는 생활미술운동의 쇠퇴기로, 1990년대를 상징하는 ‘신세대’ 문화의 등장은 민중 문화에 대한 관심을 저하시켰으며, 1995년 ‘그림마당 민’ 의 폐업으로 생활미술운동은 집단적 실천의 장을 잃게되면서 점차 개별화되는 상황을 맞이하게 된다.
    연구 결과 생활미술운동은 서민 대중의 생활 속에서 전통과 민족의 의미를 되찾고 아울러 공예의 위상을 생활 속에서 찾고자 한 움직임이었으며, 전통공예가 붕괴된 이후 현대 공예가 추구해 왔던 일품공예적경향에 반(反)하여 대중 공예를 지향했던 자생적 운동이라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그러나 생활미술운동은 시대의 변화 속에서 실재하는 현재의 경험을 삶의 구조로 해석해내지 못하고 도식적인 전통적조형언어에 머물러 있었으며 그러한 한계로 인해 쇠퇴의 일로를 걷게 되었다.

    영어초록

    As one trend of the public art movement developed in the 1980s and 1990s in Korea, ‘Living Arts Movement’ was to practice art in everyday life in areas of craft or design, instead of fine arts. However, it has not been widely known compared to the public art movement.
    With the Living Arts Movement presented as an activity to achieve social change through craft and design, this article intends to introduce aspects of Korean craft and design by examining its concept, development process, characteristics, etc.
    Therefore, I would like to limit the scope of research into Living Arts Movement that occurred within the time range of 1980-90's and Minjung Art categories. In addition, The previous study for Living Arts Movement is incomplete, so I reviewed and researched the contents in <Art World>, <Arts & Crafts>, <Design> to the primary source. And Living Arts Movement featured in newspapers, the contents were examined for the exercise. In addition, I interviewed with Kim, nam-soo involved in the movement at that time and design critic Choe, beom, La, won-sik took part in 'Dureong'. Then I reflect the record data on the study.
    I, the researcher, first examine the concept of Living Arts Movement; divide the Living Arts Movement into three periods and then; research into its development process. In the first period (in the early to mid 1980s), promotional and advertising materials were produced which were with combative and incendiary functions of Minjung Art (art reform movement in 1980s by progressive artists) and works in that period were of mere icons or symbols appearing in Minjung Art. In the second period (from 1987 to early 1990s), Living Arts Movement sought more of popular distribution as political situations were settled for the time being after 1987 and activist group-centered demand came to decline. Artists involved in Living Arts Movement planned ‘Open Market Exhibition for Living Arts’ and through that event, they not only communed with the public but also provided a forum where craft and design artists could strength their footing. Living Arts Movement was at an ebb in the third period (after mid 1990s) and with the advent of ‘New Generation’ culture which represented the 1990s, interests in subordinate class-based culture diminished and; due to the closure of <Art Gallery Min> in 1995, Living Arts Movement lost its place for collective practice, which gradually led to individualization.
    In conclusion, Living Arts Movement was to recover meanings of tradition and people in the general public’s everyday lives and also to seek status of craft in lives and its significance lies in that it was a self-sustaining movement which pursued public craft against the tendency of one-piece craft which was sought by modern craft after the collapse of traditional craft. Living Arts Movement, however, failed to interpret current experiences actually existing in the changes of the time into the structure of life and it simply remained as a schematic, traditional formative language and due to that limitation, it came to go downhi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