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45년 해방과 대한민국의 경제발전 (Koreaʼs liberation in 1945 and its economic developmen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2.12
47P 미리보기
1945년 해방과 대한민국의 경제발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43호 / 463 ~ 509페이지
    · 저자명 : 허수열

    초록

    이 논문에서는 경제발전론에서 주요하게 취급하는 여러 지표들, 즉 근대적 경제성장(1인당 GDP), 루이스 전환점(실질임금), 클라크의 산업구조(산업별 인구구성), 호프만 비율 (중공업화의 비율), 엥겔계수, 도시화율 등의 지표가 1910~2010년간의 장기에 걸쳐 어떤 변화를 거쳤는지를 검토하여, 각 지표상에서 의미 있는 변화가 거의 대부분 해방 이후에서 1960년대에 시작되었다는 것을 밝혔다. 변환점의 발생시기는 해방 직후의 교육, 1955년 이후의 농업, 1965년 이후의 공업의 순서로 이루어졌고, 따라서 1945년의 해방이 대한민국 경제발전의 가장 큰 전환점이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조선총독부의 통계를 보면 일제강점기에 상당한 변화가 있었던 것도 분명하지만, 20세기 100년에 걸친 장기적 변화에서 관찰하였을 때, 일제강점기에 이루어진 변화는 부분적이었고 매우 미미한 것이었다. 그 이유는 일제강점 하 조선의 경제가 민족별로 또 지역별로 이중구조적인 것이어서, 일본인 경제부문은 급속히 발전한 반면 조선인 경제부문은 상대적으로 위축되었고, 지역적으로는 북한지역이 집중적으로 개발됨으로써 그 효과가 해방 후 남한경제에는 크게 기여하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조선을 대상으로 하는 현상적인 분석과 조선인을 대상으로 하는 본질적인 분석은 그 결과가 크게 다르게 나타날 수밖에 없었고, 조선인들의 경우에 진전한 의미의 발전 혹은 개발은 이러한 식민지적 경제구조가 청산되는 해방 이후에 비로소 가능해졌던 것이다.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이 오늘날의 한국경제에서도 왜 그토록 중요한 것인가 하는 점도 이로써 자명해지게 되었다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In this research paper, examining the changes of various kinds of indicators which were treated primarily in the theory of economic development, that is,modern economic growth (GDP per capita), Lewisian turning point (real wages), Clark's industrial structure (population structure by industry), Hoffmann ratio (heavy industrialization ratio), Engel's coefficient, urbanization ratio,over the long term, 1910~2010, I disclosed that most meaningful changes in the indicators began after Korea's liberation and in 1960s. These changes were attained by education right after Korea's liberation, agricultural industry after 1955 and manufacturing industry after 1965. Thus I could reach the conclusion that Korea's liberation was the biggest turning point for Korean economic development.
    According to statistics of the colonial Japanese government, it is obvious that there was considerable change in Korean economy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however, it was fragmentary and very insignificant. As Korea's economy under the Japanese occupation had dual structure based on nationals and areas, Japanese economy grew rapidly, however, Korean economy relatively slowed down. And as economic development was focused on northern areas of Korea, the effect of economic development didn't contribute to southern areas after Korea's liberation. Therefore phenomenal analysis of Korean economy could not but be considerably different from fundamental analysis of Koreans, and it was not until Korea's liberation in 1945 when the colonial economic structure was cleared that economic development in the real meaning for Koreans was possible. This clearly shows the reason why independence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was so important to today's Korean econom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