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암베드까르(B. R. Ambedkar)의 초기 달리뜨 해방 운동의 성격: 1920년부터 1930년대 초반까지 (Dalit Emancipation Movement by B. R. Ambedkar: Its characteristics in early phase, 1920~early 1930s)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7.06
22P 미리보기
암베드까르(B. R. Ambedkar)의 초기 달리뜨 해방 운동의 성격: 1920년부터 1930년대 초반까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남아시아연구 / 23권 / 1호 / 57 ~ 78페이지
    · 저자명 : 이지은

    초록

    본 연구는 암베드까르가 주도한 달리뜨 운동 중, 초기에 속하는 1920년부터 1935년 이전의 운동을 대상으로 한다. 초기 운동은 암베드까르의 출신 카스트인 마하르를 중심으로 조직, 운영되었고, 그 성격과 전략 또한 1930년대 중반 이후의 본격적인 달리뜨 운동과는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초기 암베드까르 운동을 카스트의 근대화, 보편적 인권의 추구, 힌두와의 동화정책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한다. 카스트의 근대화는 마하르 사이에서 이미 19세기부터 청원이라는 형태로 추진되어오다가 암베드까르에 의하여 피억압계급의 자각을 위한 계몽운동의 성격을 띠며 본격화되었다. 또한 카스트 조직의 창설로 교육의 증진에 보다 직접적인 효과를 줄 수 있는 활동을 하였다. 보편적 인권의 추구는 이전 시대의 종교적 평등이 아닌 모든 시민이 갖는 기본권에 대한 요구였다. 식수에의 평등한 접근을 요구하는 마하드 사뜨야그라하를 통한 투쟁은 결국 마누법전의 화형으로 이어져 카스트 신분제를 철폐하라는 주장으로 귀결되었다. 마지막으로 힌두와의 동화정책은 피억압계급이 힌두 사회의 평등하고 통합적인 한 부분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상층카스트와 문화적으로 동화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당시까지 불가촉천민들에게 금지되었던 힌두 사원에의 출입을 허용해달라는 운동은 힌두교가 그들의 종교임을 전제로 한 개혁이며, 나아가 힌두교를 개혁하려는 시도이기도 했다. 이러한 초기 달리뜨 운동은 1930년대 초반을 넘어서며 원탁회의에서 불가촉천민의 정당한 참정권을 확보하기 위한 개별적 정체성의 추구라는 정치적 변화를 거쳐, 마침내 1935년에는 힌두교를 떠나 새로운 종교에 귀의하겠다는 암베드까르의 개종 선언에 이르러 완전히 그 성격을 바꾸게 된다. 그러나 초기 달리뜨 운동이 가지고 있던 스스로를 개혁하고 기본권을 추구하는 근대적 성격은 20세기 인도의 ‘민주주의 혁명’의 시작이었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early phase, from 1920 to the first half of the 1930s, of Ambedkar-led movement. Early movement was organized and managed by the Mahars, Ambedkar's own caste, and distinct from the Dalit movement after the mid 1930s in its characteristics and strategies. This article analyzes the early Ambedkar movement from the three aspects, modernization of caste, pursuit of universal human rights, and assimilation with Hindus, respectively. Modernization of caste has been promoted in the form of petition from the 19th century, and accelerated by Ambedkar in the form of enlightenment movement among the Depressed Classes. Newly formed caste organizations launched actions such as construction of dorms and award of scholarships, which could give direct effect on the promotion of education. Pursuit of universal human rights meant for the demand for the civil rights and fundamental rights for all, not the religious equality of previous era. Mahad struggle started with the equal approach to the water ended with the bonfire of Manusmriti meaning annihilation of caste society. Finally, assimilation with Hindus pursued that the Depressed Classes would be revived as a equal and integral part of Hindu society. Temple entry satyagraha carried on in order to reform Hindu religion, with the firm consideration that Hinduism was their own religion. The modern characteristics of early Dalit movement, to enlighten and reform themselves, and to secure the fundamental rights were signs of the start of 'democratic revolution' of the 20th century Indi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