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화장품광고에 나타난 언어메시지 표현분석 : 1958년~2018년의 아모레퍼시픽 뷰티매거진 <향장>을 중심으로 (Analysis of Language Message Expression in Beauty Magazine's Cosmetic Ads : Focusing on “Hyang-jang”, AMOREPACIFIC’s from 1958 to 2018)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9.10
20P 미리보기
화장품광고에 나타난 언어메시지 표현분석 : 1958년~2018년의 아모레퍼시픽 뷰티매거진 &lt;향장&gt;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13권 / 7호 / 99 ~ 118페이지
    · 저자명 : 최은섭

    초록

    본 연구는 1958년부터 2018년까지 60년간 아모레퍼시픽이 발간해온 뷰티매거진 <향장>에 실린 718편의 화장품광고에 나타난 언어메시지를 내용분석하였다. 즉 화장품광고의 언어메시지에 표현된 구매정보, 설득적 표현, 어휘종류(어종)가 시대별, 제품군 별로어떻게 표현되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실무적으로는화장품광고의 전략적 표현에 대한 고찰과 접근방법을 모색하고 학술적으로는 향후 화장품광고의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화장품광고의 구매정보는 기본적으로 실속구매나 개인만족 정보를 전달하고 있지만, 최근으로 올수록 브랜드충성 정보의 비중이 높아졌다. 메이크업제품의 경우 계절, 패션 트렌드 등을 강조하는 유행지향의 비중이 높았으나, 2010년대 이후부터는 브랜드충성 구매정보의 비중이 늘었다. 화장품의 글로벌 브랜드 전략이 광고에 적극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둘째, 설득적 표현은 헤드라인과 바디카피가 다른양상을 보였다. 먼저 헤드라인은 이미지형성중심 표현이 주로 사용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장면이미지 표현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난 가운데 1990년대이전까지는 사용자이미지 표현이 높았고 최근으로올수록 상표이미지 표현이 높게 나타났다. 바디카피는 정보전달중심 표현이 주로 사용되었는데, 그 중에서도 보편적 정보와 차별적 정보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따라서 화장품광고의 언어메시지는 소구방법을 단순히 이성소구와 감성소구로 나누기보다는 브랜드별로 확립된 이미지를 어떤 정보로 구체화할 것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어휘종류(어종)는 브랜드네임과 헤드카피로나누어 살펴보았는데, 브랜드네임은 외래어가, 헤드카피는 한자어의 사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단, 1970~80년대에는 고유어 브랜드네임이 일시적으로 많이 나타났는데, 이는 이 시기에 고유어 상표를 권장하는 정부정책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또한 메이크업제품에서는 외래어가, 남성제품에서는 한자어의 사용빈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메이크업 제품의 경우 색상이나 계절을 외래어로 표현하는 경향이 높고, 남성제품은 소비자들의 한자어에대한 권위나 신뢰의 추구성향이 언어메시지 표현에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confirmed the followings based on analysis of language messages in 718 advertisement in <Hyang-jang>, AMOREPACIFIC's beauty magazine, published from 1958 to 2018 by product categories, era, in terms of purchase information, persuasive expression, word type. First, the number of pieces among 1980s to 1990s advertisement were the largest and, in terms of product categories, there were the greatest number of pieces in skincare, makeup and mens products. Second, headline and bodycopy had a different aspect in persuasive expression. “focused on image-making” was mainly used for head lines. Specifically, “situational image” was generally dominant. While the “user image” was higher before 1990's, “brand image” was as recent times. “Informal” was mostly applied for bodycopies, especially, “general information” and “differentiated information” was used the most. It is important to know what kind of information the brand established in each brand should be embodied rather than simply dividing the appeal method into “rational appeal” and “emotional appeal.”Third, persuasive expression has different aspects in headlines and body copies. “focused on image-making” was mainly used as headlines. Specifically, “situational image” is dominant. Also, “user image” was high before 1990s but “brand image” got higher in recent times. “Informal” was mostly used as body copies, especially “general information” and “differentiated information” were the most frequently selecte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apprehend which information to specify established images by brands, rather than to divide “rational appeals” and “emotional appeals”. Lastly, categorizing word type into brand names and headlines, foreign language was the most dominant in brand names and Chinese characters in headline.
    Remarkably, brand names in native language temporarily high in 70's and 80's, which could be interpreted to be resulted from the government policy promoting native language brands in those times. In addition, foreign language was frequently used in cosmetics and Chinese characters in men's product. It could be explained that colors or seasons in cosmetic products were expressed in foreign language in most case. On the other hand, the inclination of men's product consumers, where they pursue prestige or confidence in Chinese character, was actively reflected to language messag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