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70년대 대중소설의 '육체' 담론 (Discourse on the Body in the 1970s' Popular Novel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03.12
28P 미리보기
1970년대 대중소설의 '육체' 담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여성문학연구 / 10호 / 215 ~ 242페이지
    · 저자명 : 김현주

    초록

    본고는 대중소설을 밖에서 비판 하고자 하는 시도가 아니라. '안 에서 객관적으로 고찰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따라서 본고는 1970년대 대중소설이 본격적인 대중문화의 소산으로써, 지배 이데올로기를 주입하는 기능만을 수행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생산과 수용의 상호 영향에 의해서 그 기능이 조정되는 텍스트라는 점에 주목한다. 그 결과 1970년대 대중소설 중 지배 이데올로기와 저항 이데올로기가 갈등하고, 그것을 조정하는 타협적 균형의 원리를 보여주는 텍스트라는 사실을 밝혀내고자 한다.
    197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대중소설 텍스트는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와 자본주의 체제가 결합되면서 여성의 육체가 대상화되고 그로 인해 성이 상품화된다. 따라서 텍스트는 관능적 육체와관능적 행동을 보는 즐거움과 더불어 보여지는 즐거움을 향유할 수 있는 문화적 경험 공간이 된다. 사회적 관습에 의한 '쾌감 불안 으로부터 해방된 감정을 보다 확장하기 위해서 텍스트는 대중서사 방식을 취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1970년대 대중소설은 타협적 균형의 원리를 대중 서사 방식의 원리로 취하고 있다. 다시 말해 1970년대 대중소설은 사회적 규범이나 가치에 의해서거부되는 여성인 창녀나 성적으로 문란한 여성을 성처녀로 구제하거나 사회로부터 배제하는 방식으로 타협적 균형을 모색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텍스트는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를 강화시키는 문화적 경험공간이 된다. 그와 더불어 가부장적인 여성관 나아가 성적 에너지를 공적 담론으로 방출하는 것을 금기시하는 전통적인 윤리관을 해체할 가능성을 지닌 새로운 문화적 경험 공간이 된다.

    영어초록

    This thesis is an attempt to view the popular novels in 1970s objectively. For that intention, this thesis takes an intrinsic approach rather than an extrinsic approach. This thesis is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texts of the popular novels in 1970s functioned as the fields of interactions of text-production and text-reception rather than functioning as the fields of injection of dominant ideology. As a result, many of those texts were based on the principle of compromising balance, in those texts, the dominant ideology and resistant ideology conflicted and compromised.
    As the patriarchal ideology and the structure of capitalism combined closer in 1970s, the popular novels in 1970s objectified the body of woman and dealt with sex more often. As a result, the texts of the popular novels in 1970s turned themselves into the fields of new cultural experiences in which readers of those texts enjoyed sexual amusement of seeing woman's sexual body along with the excitement of being seen (by someone). By taking a common narrative of the popular novels, those texts effectively made their readers strengthen this kind of amusement and excitement; by making them feel free of 'pleasure anxiety' by social customs. The popular novels in 1970s took the principle of compromising balance as the principle of the narrative. For example, by making ruined women such as prostitutes who don't follow the social customs sacred or by excluding them, the popular novels in 1970s developed the way of, so called 'compromising balance'. By this, those texts turned themselves into fields of cultural experiences where the patriarchal ideology got stronger. At the same time, readers experienced the possibility that they could overcome the patriarchism and conservative traditional ethics both of which had been prohibiting the release of sexual energy into the fields of public discour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