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60~1970년대 한국 대중사회논쟁의 전개 과정과 특성 -1971년 대중사회 논쟁을 중심으로- (Th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the Debate on Mass Society in Korea, 1960s-1970s)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3.05
29P 미리보기
1960~1970년대 한국 대중사회논쟁의 전개 과정과 특성 -1971년 대중사회 논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사이間SAI / 14호 / 149 ~ 177페이지
    · 저자명 : 송은영

    초록

    1970년대 한국 사회 연구에서 대중 및 대중사회론은 ‘민중’ 개념 또는 민족주의적 민중주의 담론과 달리 지금까지 연구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그러나 대중사회론은 ‘국민’, ‘시민’, ‘민중’ 등으로 호명하는 것과 다른 차원에서 대중들의 사회인식과 정체성의 상상에 큰 영향을 미친 담론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특히 1971년 2월, 7월에 한완상과 노재봉이 벌인 대중사회 논쟁은 당시 사회학자들의 사회인식과 주체인식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학술적 논쟁이었을 뿐 아니라, 대중사회 담론을 대중적으로 확산시킨 계기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 논쟁은 이미 1950년대 후반부터 소개된 미국 중심의 현대사회론이나 소외론을 전사로 가지고 있는데, 리즈먼, 콘하우저, 갈브레이드 등 1950년대 미국의 사회심리학의 영향 아래 형성된 대중사회론을 지적 원천으로 삼고 있다. 이에 따라 고도로 경제가 발달하고 합리적으로 조직화된 풍요한 사회에서, 현대인은 역설적으로 도덕적 가치가 붕괴되는 아노미 현상에서부터 군중 속의 고독과 소외에 이르는 여러 부작용을 겪을 수밖에 없는 운명이라는 대중사회의 이미지가 유포되었다. 이는 대중사회를 한국이 가야할 사회적 모델로 상상하는 상상의 아메리카니즘의 발로이기도 했지만, 이촌향도 현상이 극에 달한 시기에 도시인들이 소외와 도덕적 혼란 때문에 겪던 내면적 고통에 위로가 되었다.
    이 시기 대중사회론은 엘리트주의의 강조 및 정치적 민주주의의 간과라는 특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대중을 국가동원의 대상으로 남겨두기 위해 무지몽매한 대상으로 간주하려 했던 국가 지배 이데올로기에 복무하는 성격을 가지게 되는 한계가 있다. 결과적으로 대중사회론은 1970년대 내내 민족주의적 민중 담론과 평행선을 달리는 반대급부로 기능하면서, 대중사회의 대중과 완전히 다른 차원에서 민족문화, 전통문화를 즐기는 민족주의적 민중이 발견되게 하는 데 큰 기여를 했다.

    영어초록

    The ontology of ‘the mass’ (daejung) and the theory of mass society have not been studied, other than as the nationalistic concept of ‘the people’ (minjung). However, the ontology of ‘the mass’ still has an important meaning in that it was a powerful discourse of ‘interpellation’, having a different function from the word ‘people’ (minjung), ‘citizen’.
    In particular, the debate about mass society between Han Wansang and Roh Jaebong in February and July of 1971 was not only an academic discussion which showed the intellectuals’ consciousness of Korean society and the people’s identity, but also the moment in which the discourse on mass society became popular. This debate was based on the historical and academic context of the 1960s, which had been influenced by American psychological sociologists of the 1950s, such as David Riesman, William Kornhauser and John Galbraith. Afterwards, images of mass society became prevalent, that is to say, modern man’s destiny to suffer from moral anomy and alienation as part of a lonely crowd in a highly capitalistic society. This image stemmed from an imaginary Americanism that considered American mass society as a model of the future. However, the image also functioned as a source of hope and consolation for people who had just moved to the city and were experiencing cold relationships and an absenceofmoralnorms.
    The discourses on mass society in this period characteristically emphasized elitism and ignored the problem of political democracy, and were limited by following the nation-state’s ruling ideology which wanted ‘the mass’ to stay ignorant politically. As a result, those discourses had an antagonistic relationship with discourses on minjung and contributed to the construction of an opposing concept of minjung deeply related to the traditional cul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이間SAI”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