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603년 北漢山城 전투 고찰 (The study of a Bukhan mountain fortress battle in 603)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5.02
32P 미리보기
603년 北漢山城 전투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史學報 / 58호 / 33 ~ 64페이지
    · 저자명 : 황보경

    초록

    이 글은 603년 고구려가 신라의 북한산성을 공격하게 된 당시의 정세와 배경을 살펴보고, 전투의 양상과 그 의미에 대하여 고찰해 보고자 마련하였다.
    고구려가 공격한 북한산성은 지금의 서울 아차산성으로 비정되고 있으며, 지표와 시굴조사를 통해 ‘北漢’명 기와 등이 출토된 바 있다. 이 전투는 고구려가 551년 신라와 백제에게 빼앗긴 한강 유역을 되찾기 위한 목적도 있었지만, 그보다 신라의 북상을 막기 위해 先攻한 사례라 볼 수 있다. 한편으로는 신라가 지속적으로 수와의 외교관계를 밀착시켜 가는 것에 대한 견제를 하고자 했던 것이다. 따라서, 603년 북한산성 전투는 북한산성을 점령하여 영유화하기 보다는 신라의 북상을 차단하고 수와의 밀착외교를 저지하려는데 더 큰 목적이 있었다고 본다.
    이에 반해 신라는 진평왕의 왕권이 강화되는 과정에서 진흥왕대 넓혔던 영역의 유지와 고구려와의 대결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한 포석이 있었다. 특히 진평왕의 출전이 갖는 의미는 진흥왕이 확장한 영토에 대한 사수의지가 확고했고, 젊은 화랑과 낭도들을 내세워 향후 정국의 안정화를 기하고, 충성심을 이끌어내기 위한 목적도 있었던 것 같다. 그리고 북한산성 전투에서 그친게 아니라 고구려군을 따라 철원까지 추격하여 고석정에 비석을 남겼을 가능성이 있으며, 604년 남천에 있던 주치소를 다시 북한산으로 옮겨오게 된 계기를 만들었다. 이는 진평왕이 진흥왕의 치적과 거의 비슷한 행보를 보인 것으로 진흥왕 이후 대고구려에 대한 수세적인 모습에서 공세적으로 정책을 전환하고자 했던 의도로 볼 수 있겠다.
    603년 북한산성 전투는 고구려와 신라군이 격돌한 전투로 두 나라 사이에 벌어진 일회성에 그친 전투로 여길 수 있지만, 당시의 정세로 보아 고구려와 신라뿐만 아니라 백제, 수의 외교관계가 복잡하게 얽힌 가운데 벌어진 전투였다. 그리고 고구려는 신라의 거점성을 공격함으로써 실질적인 지배를 저지하고, 수와의 외교관계를 차단하기 위한 목적이 있었으며, 신라는 진흥왕이 확보한 영역의 사수와 젊은 화랑과 낭도들을 활용하여 왕권강화의 기회로 삼았던 전투였다고 사료된다.

    영어초록

    This thesis is prepared to know the background and the situation at that time Gogurye attacked the Silla’s Bukhan mountain fortress and to know the condition and meaning of the battle.
    Bukhan mountain fortress attacked by Gogurye is considered as Seoul’s Acha mountain fortress now. And the investigation about it was complected. This battle broke out to regain Han river’s basin that Gogurye lost to Silla and Backje, but basically Gogurye attacked first to stop Silla’s northing. On the other hand Gogurye wanted to restrain the international relation between Silla and Sui. During the consolidation of King Jinpyeong royal power, Silla wanted to maintain the bigger territory in King Jinheung and wanted to take the leadership in the match with Gogurye.
    Especially King Jinpyeong entry in the battle meaned the defense of the bigger territory by grandfather King Jinheung. And Silla aimed at the political and military stability and to get Hwarang’s loyalty. Silla didn’t stop the battle in Bukhan mountain fortress and they chased Gogurye’s soldiers so they arrived in Chelwon. It was possible to build the monument in Gosek-pavilion.
    It was a chance to move province from Namchen to Bukhansan in 604. This was simillar with King Jinheung achievements. After King Jinheung period Silla’s attitude against Gogurye was defensive. So King Jinpyeong intention was to change it to offensive attitude. The Bukhan mountain fortress’s battle occurred among complex relation with Gogurye and Silla also Backje, Su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史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