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부평 로컬리티와 이주민-1945년∼1960년대를 중심으로- (Bupyeong Locality and Migrant -Focusing on the Period of 1945∼1960’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0.08
32P 미리보기
부평 로컬리티와 이주민-1945년∼1960년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 / 46호 / 93 ~ 124페이지
    · 저자명 : 오미일, 조관연

    초록

    일제 말기 부평에는 유수한 일본 독점자본의 군수공장과 육군조병창이 들어섰다. 이에 따라 토목기술자와 일용직 인부, 그리고 공장 취업을 목적으로 하는 노동자와 기술자들이 전국 각지에서 혹은 일본으로부터 이주하기 시작했다. 이는 부평이 일본 독점자본이 의도했던 초국적 산업공간 즉 대동아공영권 내 노동력의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했던 공간임을 나타낸다.
    그러나 해방이 되면서 공장 가동은 중지되었고, 부평역 주변에 상권이 형성되어서비스업종이 발달한 정도였다. 지리적 여건상 부평은 해방 직후 일본이나 상해 북경 등 중국으로부터 귀환하는 동포들의 정착지로 기능했다. 한국전쟁 때에는 주로 평안도, 황해도 지역 피난민이 인천항을 통해 유입되어 부평에 정착했다.
    전재민이나 피난민들은 개별 단위로 산발적으로 정착하기도 했으나, 대개 피난민수용소 시설이나 혹은 간석지나 황무지 개간과 같은 정착정책에 의해 집단적으로 터를 잡는 경우가 많았다. 원주민들은 강한 생활력을 가진 피난이주민들의 경제력이 원주민보다 우월해지고, 이들이 부평시장의 상권을 주도하는데 대해 질시의 시선을 보내기도 했다. 전재민과 피난민의 집단수용소, 상이군인들의 집단농장, 한센병환자수용소와 형무소, 부랑자교화시설 등이 다수 입지한 곳이라는 부평의 이미지는 곧 ‘타자성의 로컬리티’로 투영되었다. 부평은 1940년에 인천부로 편입되었으나, 부평민들은 여전히 부평지역이 인천에서 소외되고 배제된 차별받는 공간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1950, 1960년대 부평 이미지로 표상되는 또 한 가지는 애스컴과 주변 기지촌이었다. 해방 후 미군이 일본 육군조병창을 접수함으로써 형성된 애스컴과 기지촌은 이 시기 부평 지역경제의 구심점이었으니, 미군부대 취업과 미군 및 기지촌을 상대로 한 자영업과 기타 상업활동을 목적으로 타지인들이 부평으로 유입되었다.

    영어초록

    At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period, munitions factories and arsenals of Japanese leading monopolistic capital were built in Bupyeong. Consequently,civil engineers and day laborers as well as other workers and engineers, who desired to work in the factories, commenced to migrate from all over the country or Japan. This indicated that Bupyeong was a place the Japanese monopolistic capital intended to make as a transnational industrial area, precisely speaking, a place where the labor forces within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could ‘freely’ move. But these factory operations stopped upon liberation.
    Right after liberation, most of Bupyeong area was agricultural area and just some business district was formed around Bupyeong station where service industry grew.
    Geographically Bupyeong was functioning as a settlement for the compatriots who returned back from Japan or China like Shanghai and Beijing right after liberation. The war victims most of whom were absolute relief recipients had to sleep out in the open under the worst sanitary condition especially due to a serious shortage of house.
    During the Korean War, the refugees from Pyeongan Province and Whanghae Province were entering through Incheon Port and settled down in Bupyeong.
    More than 60% of those refugees were also relief recipients under a serious threat of livelihood.
    The war victims or refugees settled down in several parts by individual but in many cases they settled down in a refugee camp or in a place as a group by the settlement policy such as cultivation of tideland or wasteland. The natives sometimes even kept a jealous eye on the refugee-migrants who had strong ability to maintain their livelihood and became superior economic power than the natives so that they led the commercial supremacy in Bupyeong market.
    Bupyeong’s image that it was a place where many of refugee camps for war victims and refugees, collective farm for wounded soldiers, Hansen’s disease patient camp, prison and enlightenment facility for tramp were located was projected onto ‘locality of otherness’. In other words, Bupyeong citizen thought Bupyeong was still a segregated space neglected and excluded in Incheon even though it was incorporated into Inchoen-bu in 1940.
    Meanwhile,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 that acted on Bupyeong’s image in 1950’s and 1960’s was ASCOM and its neighbored military campside town,which were formed due to the U.S. Forces’ takeover of the Japanese military arsenal after liberation and became a center of Bupyeong’s local economy in that era. Strangers came into Bupyeong for the purpose of getting a job in the U.S. camp, making self-employed business toward U.S. soldiers and military campside town or making other commercial activities. The image created by the migrants around the military campside town in 1950’s ∼1960’s acted on forming locality called Bupyeong’s military campside c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