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고령사회의 고령임차인 주거문제와 일본의 주택세이프티넷제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housing issues for the aged lessees in the era of a super-aged society and the Japanese housing safety net system)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20.03
25P 미리보기
초고령사회의 고령임차인 주거문제와 일본의 주택세이프티넷제도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주거환경학회
    · 수록지 정보 : 주거환경 / 18권 / 1호 / 103 ~ 127페이지
    · 저자명 : 박혁서

    초록

    본 연구는 초고령사회에 있는 일본의 고령임차인 주거문제를 분석하고 이에 대응하는 주택세이프티넷제도와 그 성과를 분석하고 있다. 이와 같은 분석은 2026년에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는 한국의 고령자 주거정책에도 시사하는 바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은 5가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초고령사회의 고령자 주거문제는 그 이전 단계였던 고령사회의 고령자 주거문제와 크게 다르며 임대주택수요의 상당 부분을 고령자가 차지하면서 고령임차인에 대한 기피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원인으로는 고독사와 임대료 체납문제, 임대료 채무보증료 부담 문제 등과 같이 고령자에게 나타날 수 있는 특성과 관련된 문제가 주된 원인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고령자 주거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노력만으로는 지방재정 여건상 한계가 있다. 따라서 중앙정부의 교부금을 통한 보조가 수반될 필요가 있다. 이 과정에서 중앙정부는 고령임차인의 주거안전망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지방자치단체가 해당지역의 임대주택시장을 고려해 적합한 정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셋째, 고령임차인에 대한 주거안전망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고령자뿐만이 아니라 임대인에 대한 지원도 병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거주지원협의회와 거주지원법인과 같은 민관협력단체와 민간단체를 활성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넷째, 지방자치단체의 탄력적인 고령자 주거안전망운영이 매우 중요하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주거안전망도 지역임대주택시장의 범주에서 이해하고 접근해 갈 필요가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다섯째, 고령자의 신체적 특성상 이동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고령자 입거에 제한이 없는 임대주택을 용이하게 탐색해 입주신청까지 가능하도록 온라인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offers an analysis of the housing issues for Japanese aged lessees in the era of a super-aged society and the performance of the housing safety net system that was put in place to deal with such issues. This analysis is expected to have profound implications on the housing policy for the aged lessees in Korea that will need to be implemented in the era of the super-aged society that will come about by 2026. The analysis of this study resulted in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ly, the housing issue for the aged in the era of a super-aged society is greatly different from that in the aged society preceding the super-aged one. As most of the rental housing is occupied by the aged lessees, they have been unwelcomed in the rental housing market. The main reasons for this include such problems as solitary death, failure to pay the rent and the debt-guarantee fee for the rent, all of which are linked to issues likely to occur in relation to the aged. Secondly, effectively dealing with the issues requires more than the efforts of a local government that is usually faced with tight financial constraints. This is where a subsidy by the central government is needed, and the central government has to offer a guideline on the housing safety net for the aged lessees and help local governments to make appropriate policy decisions in consideration of the rental housing market in a particular area. Thirdly, the lessors, as well as the lessees, should be supported to establish a housing safety net for the aged. To this end, it is important to promote public-private partnerships and private organizations such as housing support councils and a corporate body for housing support. Fourthly, the analysi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a flexible housing safety net for the aged that is operated by the local government. In shor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and approach the housing safety net issue in terms of a local rental housing market. Finally, it is thus crucial to set up online information systems which will help the aged to search for proper rental housing and enable them to make an application for moving in, as they find it physically challenging to move around in search of suitable accommod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주거환경”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