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주특별자치도의 가정·학교·지역사회 연계로 늘봄 교실: 보살핌의 윤리 ‘넬 나딩스(Nel Noddings)의 「행복과 교육」’ 중심으로 한 지역문화예술교육 (Classrooms for families, schools, and communities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Loc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centered on the ethics of care "Happiness and Education" by Nel Noddings)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24.12
25P 미리보기
제주특별자치도의 가정·학교·지역사회 연계로 늘봄  교실: 보살핌의 윤리 ‘넬 나딩스(Nel Noddings)의  「행복과 교육」’ 중심으로 한 지역문화예술교육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예술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예술교육연구 / 22권 / 4호 / 121 ~ 145페이지
    · 저자명 : 안지언

    초록

    본 연구는 동시대적 요구로 ‘사회적 돌봄’에 관해 문화예술교육의 역할과 가능성을 진단한다. 특별히 전연령 인구유출급증, 전국 맞벌이 10여년 간 부동의 1위, 돌봄 인프라 및 체계 전국 하위인 제주특별자치도를 대상으로 지역사회돌봄으로 2024-1학기부터 시범, 2학기 전면 추진하는 현 정부의 주요 교육정책인 늘봄학교(교실)가 가지는 돌봄교육의 가능성을 지역문화예술교육 체계 안에서 진단, 특별히 초등학교(학령기)아동발달에 따른 예술교육의 방향성 고찰한다. 정책 추진단계 초기에 있는 늘봄학교 시범운영 대상으로 제주시, 서귀포시 행정구분으로 사례화 하여 , 운영기관으로서 운영하고 있는 연구자의 정체성을 살려, ‘지역문화예술교육’으로 명명, 질적 사례연구로서 늘봄학교를 이루고 있는 주요 구성원 5인의 목소리를 통해 함의를도출하였다. 목소리에 관한 함의로 1) 돌봄과 교육 그리고 문화예술교육 관계를 조망하였다. 2) 아동의 쉴권리와 놀권리 기반의 과정중심 예술교육으로 늘봄학교(따듯한 돌봄과 교육) 방향성을 포착하였다. 3) 제주형지역문화예술교육 강화로 아동-교사- 양육자가 '신뢰- 참여- 조정- 합의'를 통한 협력 모델을 제언하였다.
    4) 인간경험형성으로 아동발달 중심의 예술교육 방법론과 주안점으로 나딩스의 철학을 연결하여, 현 정책이탐색하고 진단해야 할 요소를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돌봄과 교육의 현장과 정책이 공진화되기 위하여, 배려윤리를 주장하며 보살핌의 윤리를 주장한 넬 나딩스(Nel Noddings)의 ‘행복과 교육’의 저서를 통해 고찰하였다. 끝으로 돌봄과 교육정책에 있어 긴장과 보완이 필요한 현장 추진 체계에 있어 아동 사회적돌봄의 방향성과 철학 담론, 후속연구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diagnoses the role and possibility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social care' with con temporary demand. Particularly,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hich has been the first place in the country for 10 years, and the lowest in the country in terms of care infrastructure and system.
    The possibility of care education of Neulbom schools (classrooms) is diagnosed within the loc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system, especially elementary schools (school-age). It examines the direc tion of art education according to the same development. The pilot operation of the Neulbom School, which is at the beginning of the policy implementation stage, was divided into administrative divisions of Jeju City and Seogwipo City, and the implications were derived through the voices of the five major members of the Neulbom School as a qualitative case study, taking advantage of the iden tity of the researcher operating as an operating institution. As an implication of the voice, 1) the re lationship between care, education, and culture and arts education was viewed. 2) Children's right to rest and play and the right to play As a process-oriented art education based on the basis, the direc tion of Neulbom School (warm care and education) was captured. 3) Jeju-type local culture and art As education reinforcement, a cooperative model through 'trust-participation-coordination- agree ment' was proposed by children-teachers-raiser. 4) Human experience By connecting the art educa tion methodology centered on child development with the philosophy of Naddings as the main focus, the current policy explores and progresses.
    It was possible to know the factors that needed to be clarified. Therefore, this study was examined through Nel Noddings' book of Happiness and Education, which insisted on caring ethics and ethics in order to co-evolve the field of care and education and policies. Finally, the direction of child so cial care, philosophical discourse,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presented in the field promotion system that requires tension and supplementation in caring and education polic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술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