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최한기와 니시 아마네의 ‘국가’ 인식 비교 —국가의 목적과 중국 및 천하관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between Choi Hangi's and Nishi Amane's Views of Nation)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9.05
36P 미리보기
최한기와 니시 아마네의 ‘국가’ 인식 비교 —국가의 목적과 중국 및 천하관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철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철학연구 / 98호 / 69 ~ 104페이지
    · 저자명 : 임태홍

    초록

    이 연구는 전통시대 말엽에 활동했던 조선과 일본의 두 사상가, 즉 최한기(崔漢綺, 1803∼1877)와 니시 아마네(西周, 1829∼1897)의 '국가'에 대한 인식을 비교한 것이다. 최한기의 경우는 ‘인정(人政)’을, 니시 아마네의 경우는 ‘병부론(兵賦論)’을 주로 사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먼저 이 논문은 두 사상가가 『대학』 팔조목의 ‘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의 개념에 대해서 어떠한 인식을 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러한 인식 가운데 ‘국가’에 대한 이미지가 어떤 것인가 고찰하였다. 최한기와 니시 아마네의 ‘국가’관은 모두 ‘천하’를 전제로 하고 하고, 확장된 서구세계에 대한 인식을 보여준다는 점에서는 유사하지만, 차이점으로 최한기의 경우는 ‘천하’가 더 중시되며, 전통적인 유학자의 국가관과 크게 다르지 않은 반면에, 니시 아마네의 경우는 서구의 내셔널리즘(nationalism)을 수용하여 근대적인 ‘국가인식을 보여주는 것이 특징이다. 다음으로 이 연구는 두 사상가의 자국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최한기의 경우는 ‘조선’에 대한 언급이 거의 없다. 『인정』에 나타난 이러한 특징은 그의 다른 저작물에서도 마찬가지다. 반면에 그는 ‘중국’에 대해서 매우 강한 사상적 친연성을 보이며, 문화적, 사상적으로 ‘중국’과 ‘조선’ 사이에 거리감이 없다. 반면에 니시는 ‘일본’에 대해서 매우 ‘민족주의’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으며 ‘일본’이 사실상 그의 사상의 ‘기준’, 즉 그 사상의 출발점이자 종착지가 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치안’과 ‘국방’의 개념을 들어 두 사람의 ‘국가’ 인식 차이를 살펴보았다. 최한기는 국가의 최고 통치자가 중시해야할 사안으로 국가 내부의 통치, 즉 ‘치안(治安)’을 들었다. 반면에 니시 아마네는 국가 외부의 방비, 즉 대외적인 군사 준비(兵備), 즉 국방을 중시했다. 이러한 차이는 앞장 제Ⅱ장과 제Ⅲ장에서 논의한 차이점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ttempts to compare the recognitions of the 'nation' by two philosophers, Choi Han-gi (崔漢綺, 1803-1877) of Korea(Joseon) and Nishi Amane (西周, 1829-1897) of Japan. In particular, the author compares their views on 'nation', mainly through analyzing In-Jeong(人政, personal administration) written by Choi and Heifu-Ron(兵賦論, Discourse on military service) by Nishi.
    Firstly, the paper examines their concepts about 'nation' in the Great Learning(大學)'s key thought, ‘after self-moral training and home management comes governing a country and the entire world(修身․齊家․治國․平天下)’. The nation views of Choi and Nishi premises the 'world(天下)', and they have similarity showing expended views of Western world. Choi Hangi, however, attached more importance to the 'world', which is not so different with the nation views of traditional Confucian scholars. On the other hand, Nishi Amane accepted the nationalism from Western society, and thereby he showed the modern view of nation.
    Secondly, this dissertation investigates the recognitions on their homelands, that is Joseon and Japan. It is rare for Choi Hangi to mention his own country 'Joseon' in the document In-Jeong, such a inclination can be discovered in his other books. While, he shows a close affinity with China, and he has not some sense of distance about Chinese culture or its civilization. In other word, he didn't look at China as the other country. Nishi Amane, however, frequently referred to his own country, Japan, in his writings and usually thought most problems from the standpoint of the nation. Japan, to him, actually can be said to be the fiducial point, that is a starting and terminal point of his thought.
    Lastly, the writer examines the distinctions of their concepts on nation through the ideas of ‘public peace(治安)’ of Choi and ‘national defense(國防)’ of Nishi. Choi Hangi noticed 'public peace' as a national policy to which a supreme ruler of a country should attach importance. The security of a nation is to rule a country in peace. Nishi Amane, however, took a serious view of military affairs, especially defensive preparation of army. In other words, Choi did not emphasized military affairs, whereas Nishi did not stress the security problem of a country. This difference may be originated in the contrast gaps of the previous notions which are discussed in Chapter Ⅱ and Ⅲ.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