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의 형상으로서의 자아초월성에 대한 니버와 판넨베르크의 이해 (The Views of Niebuhr and Pannenberg on Self-Transcendence as the Image of God)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3.10
30P 미리보기
신의 형상으로서의 자아초월성에 대한 니버와 판넨베르크의 이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성경과 신학 / 68권 / 375 ~ 404페이지
    · 저자명 : 유진열

    초록

    오늘날 한국에서 인명을 경시하는 사상은 여러 가지 비극적인 결과를 낳고있다: 살인, 자살, 비인격적 대우, 인간의 수단화, 인간관계의 표피화. 이런현상은 인간의 정체성에 대한 혼란이나 그의 가치에 대한 왜곡과 허무감에근거한다. 현대에 와서, 기술문명이 발전하고 기능적 인간론이 득세하면서,그 현상은 더 복잡하게 심화하고 있다. 이 혼란과 왜곡에 대한 기독교적 응답은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되었다는 창세기의 선언이다. 최종진도말하기를, “올바른 자아개념은 성서에서 찾을 수밖에 없는데 그 중에 가장큰 내용이 바로 인간 창조의 독특성과 하나님 형상으로 창조 받은 인간의실존의 이해이다.”니버와 판넨베르크가 제기하는 신의 형상은, 인간이 우연히 존재한다고하면서 약육강식하는 동물처럼 사는 것을 정당화하거나 사람도 진화의 법칙에 따라 생존하는 것뿐이라는 결정론적 주장을 초월하여, 인간이 추구해야할 목표요 운명이기 때문에 신자에게 구체적인 목표의식을 요구하는 것이다. 이런 면이 사람을 동물과 구별하는 요소이므로, 그들의 그 형상론은 인간의 신적인 기원과 그에 수반하는 인간의 존엄성과 특이성을 고취하고 있는 것이다. 이 주장은 또한 사람의 도덕성, 인권, 공동체적 성격, 책임적 자유의 행사, 환경의 중요성에 관한 논의에 시사하는 바가 큰 것이다. 왜곡된 자아상의 굴레 속에서 자신과 타인을 비인격적으로 대하며 불행한 삶을 사는 이들에게 필요한 복음이 있다면, 그것은 인간이 신의 형상으로 창조된 고귀한 존재라는 것과 사람이 자의식을 통해 신과 진리를 추구하며 자신의 운명을 성취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이런 의미에서 니버와 판넨베르크가 그 형상을 자아초월성이란 용어로 해설한 것은 신학적으로 정당하며 경험적으로 긍정할 수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explicate how Niebuhr and Pannenberg see human self-transcendence as the conspicuous element of Imago Dei. Anatomizing their views, it examines if they present a Biblically-based, empirically- appropriate one, and how they agree or disagree with each other on the issue. It also explains and criticize their views on the property of self- transcendence, the relation of religion with self-consciousness, and the transcendence as a way to the future and truth, and finally the nature of their claims.
    This dissertation focuses on their views of the image of God in terms of human exocentricity. In order to achieve this end, this writer research intensively into Niebuhr’s The Nature and Destiny of Man(2 volumes), Pannenberg’s Systematic Theology(3 volumes) and Anthropology in Theological Perspective, and their other works. Sometimes it juxtaposes their views to elabor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and other times it fuses the views into one to betray their agreements. This synthesizing effort is carried out in the power of self-transcendence as they describe it.
    First of all, this study deals with how the two theologians conceive the concept of self-consciousness as the particularity of humanity. They contend that self-transcendence is a power to objectify human himself, and that the faculty is also called ‘openness to the world,’ or ‘exocentricity.’ Niebuhr and Pannenberg relate the concept to the themes of God, religion, truth, and future. According to them, humans can go beyond themselves, activating the transcendence, to God and truth. Human self-consciousness makes him stand outside of nature, life, himself, his reason, and the world. Then the faculty leads humans inevitably to search for God, truth, eternity, and salvation.
    Their view of self-transcendence is wholistic in that they refuse to localize the image of God as human soul or its features like reason and freedom. In so doing, they make contributions to the discussion of the divine image in terms of the universal idea of self-transcendence, and to the relevancy of theology for human identity and destiny. However, they do not give enough attention to the theme of God’s transcendence as the root of human self-consciousness, and of the self-consciousness of animals as the object of comparison with human be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성경과 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0 오전